Home > AUDIO NOTES > 하루하루 수세에 몰리는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은?

하루하루 수세에 몰리는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은?

최근 MBC <강석-김희영의 싱글벙글 쇼> 두 진행자가 교체되었다. 그 시점, 어떤 짧은 기사를 읽어 보니 배경을 설명하던 MBC 측 누군가의 말에 “팟캐스트를 통해 인기를 끈…”이라는 단서가 담겼던 모양이다. 팟캐스트? 스쳐 지나가기 쉬운 아주 작은 변화의 단서.

1973년 시작된 고전적인 코너에서, 무려 30년 이상 같은 자리 지킨 분들이 갑작스레 퇴장함에서 비롯된 주변 반발감을 잠시 옆으로 미뤄두면 그 상황의 본질은 느긋하고 고답적인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에 흥미 우선에 재빠르기까지 한 디지털 인터넷이 강한 한 방을 날린 것이다. 극단적 묘사로는 ‘말을 퍼뜨리는 유효한 수단이었던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이 같은 기능을 수행하면서 더 자유분방한 팟캐스트에 의해 침식당한 사례 중 하나.

아날로그 라디오, 모든 방송의 원점

1959년 소개된, 최초의 국산 라디오 ‘금성사 A-501’이 박정희 정권의 ‘농어촌 라디오 보급 운동’으로 상승세를 탔고 이후 경제성장에 따라 많은 종류, 많은 수의 AM 라디오들이 유통되었으며 1970년, 국내 FM 스테레오 방송을 시작점으로 이후 40여 년간 <이종환의 밤의 디스크 쇼>, <이문세의 별이 빛나는 밤에> 등 음악과 말과 사연이 어우러진 전설적인 코너들이 큰 사랑을 받았다.

그 자리를 마련한 것은 아날로그 FM. 엽서 보내고 읽어주기, 듣고 공감하고 환호하기, 긴장감 속 카세트 녹음하기 그리고 선물하기, 그런 식 사람과 FM 방송의 어울림이 다채롭던 시절이 있었다.

시간 흐르고 2008년 아이폰이 열어젖힌 모바일 세상의 성숙기에 지난 10여 년간 성장세를 멈추지 않았으며 정치적 대립의 틀 속에서 종종 적극적 프로퍼겐다의 수단으로까지 활용된 팟캐스트가 이 시대의 방송대안으로 급부상한 형국이다. 수신기 대 수 감소와 함께 무선 전파 송출이 삭제된 방송 매체의 대두에 의해 유형물 아날로그 라디오와 그 안에 담기는 콘텐츠는 불과 70년 만에 모종의 변혁기를 만나게 된 셈.

(‘라디오 보유와 이용행태 변화’, 2p,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7년)

아날로그 방송은 사라질 것인가?

이후 변이의 양상은 아날로그-집체형 시스템과 디지털-분산형 시스템의 대립으로 요약될 수 있겠다. 그렇게 수세에 몰린 라디오 방송은 과연 어떻게 될 것인지? 이 질문은 매체력이 계속 유지될 것인지와 무선 송출의 기술적 방법론이 어찌 될 것인지, 두 가지 관점에서 가늠이 되어야 한다.

AM의 경우 ‘한민족방송’ 외 특별한 정체성을 갖는 코너가 없고 FM 재방송 또는 동시 방송 위주로 편성되어 있다. 1980년대에 비해 확실히 가정 내 잡음 원이 많아졌으며 특히, 대북 재밍(Jamming) 전술 때문에라도 가장 많은 이들이 거주하는 수도권 내 청취가 꽤 어려운 형편인지라 가끔 가방에 넣고 다니던 빨간색 AM 라디오를 본 사람들이 살짝 경악하는 정도가 되었다.

FM은 목하 치열하게 싸움을 하는 중. 콘텐츠의 질은 차치하고 FM 방송이 ‘다시 듣기’를 통해 인터넷망으로 재유포되거나 ‘보이는 라디오’라는 특별한 틀을 통해 비주얼 접목된 형태로 가공이 되고 있음은 좋게 말하면 아날로그의 트렌드 추종 즉, 전술적 변화가 되겠고 다르게 말하면 살아남기 위해 경계선을 넘나드는 고육지책이다.

현재와 같은 조건으로  끝까지 간다면, 적어도 콘텐츠 다양성이나 방송법 등 규제의 강도 때문에라도 라디오 방송이 자유로운 분산형 인터넷 방송에 비해 많이 불리하다. 그리하여 “누군가 그러던데… FM도 조만간 아날로그 TV처럼 종료될까요? 그런 질문이 오고 간다. 지글지글 소리가 좋다고 생각하고 다이얼 돌리는 손맛에 완전히 반한 아날로그 마니아적 시각에서는 그런 게 다 심각한 고민.

잠시 생각을 더 해보면 전통적인 아날로그 AM이 전시나 재난 상황의 급조형 방송에 강점이 있고 휴전 중인 현재가 바뀌지 않는 이상 어렵게 받은 국제 호출부호를 버릴 이유는 없다. 아날로그 FM이 Cell 단위 디지털 네트워크보다 더 효율적이고 광역 포괄성 측면에서 더 안정성이 높다는 점, 가정집 오디오는 물론 1600만 대 자동차들 상당수에 아날로그 라디오가 탑재되었다는 사실까지 고려하면 아날로그 방송 시스템의 원론적, 하드웨어적 우월성은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관성의 법칙에 따라서 그리고 2017년 부로 모든 아날로그 방송이 삭제된 노르웨이에서와 같은 강력한 정책 추진이 앞서지 않는 이상  AM, FM 아날로그 방송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다만, 송출 기술 부문은 양상이 조금 다를 수 있다. 이미 아날로그 TV를 디지털로 전환한 사례가 있고 보통은 사용하지 않지만, 이 순간에도 FM RDS 디지털 신호가 아날로그의 틀을 빌려 실시간 송출되고 있으며 한쪽에서 라디오 폐국도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배철수 씨가 <배철수의 음악 캠프>에서 여전히 정성껏 고른 CD로 음악을 들려준다는 팩트가 강조되는 만큼은 아날로그 방송의 디지털 솔루션 종속화나 그것에 기대는 네트워크 편향 현상이 상당히 진행되고 있는 것도 사실.

“It’s the contents, stupid”

어쨌든 진작에 무선 라디오 플랫폼이 당연하게 독점적 지위를 누리던 시절은 갔다. 1인 방송은 100만 명이 보고 들어도 마음대로이지만 하루 몇 만 명 듣는 라디오 프로그램은 관리 통제를 받는다. 형평성 어긋남에도 매체 속성이 다르므로 어쩔 수 없음. 그래서 남는, 적자생존 세상의 명답은 오로지 ‘콘텐츠’뿐이다.

청취 시간대를 정확하게 선정했고 내용까지 특별한 <전기현의 세상의 모든 음악>과 같은 프로그램들이 많아져야 하겠고 생각과 말이 재미난 김신영 씨나 작가들의 현재 역량에 더하여 다루는 소재가 더 다양해져야 한다. 구현 방법론에 있어서 A/V에서 A가 V로 갈 것이 아니라 다큐멘터리 <실크로드>의 연주곡들처럼 V에서 A가 나올 수도 있고 자막 잔뜩이어서 소리가 안 들려도 볼 수 있는 요즘 TV 프로그램들의 역(逆)도 있겠다. 너무 뻔한 말이지만 종국에는 온라인과 다른 1% 배타성 유지와 굳건한 콘텐츠 소비자 층 확보가 관건.

* IT조선 기고 원고(2020.05) → 공개(2020.10.22)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