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AUDIO NOTES > 대한민국과 일본, 오디오 시장의 상황은 엇비슷하다

대한민국과 일본, 오디오 시장의 상황은 엇비슷하다

글쓴이 : SOONDORI

“일본의 내수용 오디오 시장의 변천은 뭐가 좀 다를까?” 그래서 2019년의 일본 MAG2NEWS의 Web 기사를 가볍게 의역해보았다.

* URL : https://www.mag2.com/p/news/399894/3

아키히코 씨의 좋은 말씀은 잘 들었고… 결론은, 대한민국 오디오 시장의 변화 패턴, 배경과 별반 다를 게 없음. 뭐… 빈티지 아날로그의 점진적 사멸이라는 게 전 세계적 현상이니까.


ついにオンキヨーも身売り。なぜ日本のオーディオ産業は傾いたか (2019.05.29)

명실상부한 오디오 전문 메이커, 온쿄가 오디오 사업 부문을 매각한다고 발표하면서 큰 파문이 일고 있다. 미국 거주 작가 레이제이 아키히코는 본인의 이메일 매거진 ‘레이제이 아키히코의 프린스턴 뉴스’에서 많은 일본 기업의 오디오 시장 철수를 ‘무조건 항복’으로 묘사하고 왜 그런 상황이 벌어졌는지를 분석하면서, ‘패배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일본의 다른 산업도 같은 운명을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Akihiko Reizei, 도쿄 출생. 도쿄대학 문학부, 컬럼비아대학 대학원 졸업. 1993년부터 미국에 거주하고 이메일 매거진 JMM(Ryu Murakami 편집장)에 “FROM911, USA Report” 기고)

“일본 오디오 산업, 무조건 항복!”

주지의 사실이지만 지난 5월 16일, 온쿄가 미국 사운드 유나이티드와 주요 홈 AV 사업의 매각에 관한 ‘기본 협약’을 체결하였고 매각 후에는 헤드폰 등 모바일 액세서리, 가전제품, 자동차용 솔루션 공급에만 집중할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 매각액 7500만 달러(약 82억 엔). 2015년 인수한 ‘파이오니어’ 브랜드 사업도 대상. 매각 후에도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지만 제조·판매는 사운드 유나이티드사가 담당)

* 관련 글 : 그들은 더 이상 진지하지 않다

이제까지 마란츠, 데논 등 브랜드가 매각되어 더 이상 일본 기업이 아닌 게 되어버렸고 나카미치, 아카이, 아이와 등 진작에 사라진 브랜드도 많습니다. 히타치나 도시바 등 큰 가전기업도 오디오 사업에서 철수하고 있는 형편입니다.  

그런 추세와 별도로, 이제 오디오 제조는 로우테크나 다름없습니다. 그런데 오디오 관련 어플 제작이나 스트리밍 등 신규 비즈니스 시장에서 일본 기업이 선구적 역할을 하고 있는가 하면 그렇지도 않습니다. 그런데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세계시장을 제패헀던 산업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기 때문에 ‘총체적 붕괴’ 또는 ‘무조건 항복’으로 표현하는 게 합당하다고 생각합니다.

도대체 무엇이 문제일까요?  이하 연번을 메겨가며 모두에게 고민을 위한 화두를 던지고자 합니다.

1) 오디오 시장 쇠퇴의 단서는 MP3였습니다. 1995년, 윈도우 95가 등장하면서 전 세계의 컴퓨터 보급이 급속히 진행되었는데 와중에 음악 비즈니스의 핵심 미디어였던 CD에서 “아주 간단하게 오디오 파일을 꺼낼 수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불법 업로드, 다운로드가 횡행하고 끝내는 CD 중심 비즈니스가 흔들리기 시작했습니다.

그런 배경에서, Apple은 매우 치밀한 전략 하에 행보하였습니다. 2001년 당시, 불법 다운로드가 만연한 시장에 ‘i-Pod’라는 고성능 재생장치를 도입, ‘음악 파일 판매’ 사업을 시작하였고 2010년대 후반, Spotify가 스트리밍 서비스로 도전장을 내민 후에는 ‘파일 판매’에서 ‘정액 스트리밍’으로 사업방식을 변경하였습니다. Apple은 전통적인 CD 판매 비즈니스 모델을 파괴하고 디지털 플레이어를 대중화하였으며 훗날 그 기능을 휴대전화에 통합함으로써 음악산업을 완전히 ‘디스크 없는 세상’으로 만들어버렸습니다.

그러한 변화의 초기 단계에서 불법 다운로드를 단속하는 사법당국을 옹호하던 일본인들이 점차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애플의 시장 주도권이 확보되었고 이후로 Sony 등 기업은 그런 시장 트렌드에 종속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 불법 파일 또는 불법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단속이 느슨해지면서 유형물 CD 대신 무형물인 디지털 음원이 득세하게 되었고 이후로 물리 장치 제작에 강한 유수의 일본 기업들이 손에 잡히지 않는 소프트웨어 중심 시장의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었다는 뜻으로 이해. 여기서, 애플이 일본 스마트폰 시장의 90%를 점유하고 있다는 사실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2) 한편으로 CD가 문제였습니다. 소니의 포맷인 16비트는 부족함이 많았는데도 오랜 동안 그 규격이 유지되면서 시장 내 고품질 오디오에 대한 새로운 욕구가 형성되지 않았습니다.

3)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99년, 소니와 필립스가 SACD 포맷을 내놓았습니다만, 완전히 실패한 사업이 되었습니다. 이유는 너무 비싼 매체 가격, 지나치게 불법 업로드를 염려한 SACD의 보안성 때문이었습니다. 새로운 디스크 규격이 범용성과 확산성을 담보할 수 없었다는 것이고 그 단점이 오히려 고품질 음원 다운로드 서비스 시장 규모를 확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습니다.

4) 물론 지금도 오디오 산업이 존재합니다. 영국, 미국, 북유럽의 고급 스피커, 고급 앰프 제조사는 살아남았고 새로 창업하는 경우도 있으며 대체로 시장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편입니다.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헤드폰이나 이어폰 시장은 폭발적으로 커졌습니다.

이상의 조건에서, 왜 ‘무조건 항복’이 되었을까요?

○ 우선, 일본 오디오 메이커는 ‘세계 젊은이의 욕구’ 파악에 소홀했습니다. 새롭게 젊은이들의 문화가 유입, 접목되지 않았고 심지어 해외 현지에서조차 로컬 문화의 파악에 실패하거나 또는 그것에 깊숙이 융화되지 못했던 게 문제였습니다.

○ 그 다음으로, 예를 들어 일본인들은 스피커 측정 결과에 너무 집착하고 한편으로 “무거운 소리가 좋다”와 같은 미신에 현혹되어 있습니다. 측정 결과는 단순히 스피커 소리를 마이크로 포착한 주파수 특성일 뿐입니다만, 저음부터 고음까지 ‘플랫’한 소리로, 한마디로 일정 높이의 소리가 특별히 크거나 작게 연주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똑바르고 고르게 연주되는 게 최상이라는 게 일본인들의 신념이었습니다.

사실 이런 사고방식은, 사실 사람 귀의 ‘주파수 응답’은 고르지 않으며 듣기 쉬운 범위가 편향되어 있기 때문에 전혀 의미가 없습니다. 카메라 세상에 ‘인상색’과 ‘기억색’이 존재하는 것처럼 소리도 인간의 대뇌에 도달했을 때의 결과로 판단해야만 합니다. 영국인 스피커.제조사들은 그 원칙을 잘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음악회 심사위원처럼 자신의 귀로 조율하는 것을 선호하는 진정한 기술자들입니다.

(, 일본 오디오 기술 시장에서 하만-타겟과 같은 것이 나올 수 없다, 브리티시 사운드는 있어도 재패니스 사운드는 없었다는 주장과 같다. 한편, 재생 특성이 Flat한 그래서 Monitor的이라고 표현되기도 하는 스피커나 CDP 등을 쓰면 처음에는 매우 심심한 소리가 난다. 그러나 곧 익숙해짐. 대체로 착색이 있는 기기, 스피커가 좋을 때도 있고 아닐 때도 있고…)

○ 일본 오디오 산업은 (영국 스피커 시장과 같은) ‘장인주의 집단’이 아닌 ‘샐러리맨 기술 집단’이기 주도했습니다. 그래서 “테스트 결과가 훌륭하면 무조건 무조건 고급 제품이다”라는 오컬트적 신앙이 충만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 신앙을 전 세계 누구나 용인하는 게 아니고 오컬트 신앙을 추종했던 일본 오디오 매니아가 고령화하면서 시장이 자연스럽게 소멸되고 있습니다.

만일 일본 오디오 제작사들이 전 세계 사진가들과 상시 대화하고 그들의 욕구를 수용하며 제품 퀄리티를 올바른 방향으로 진화시켜온 니콘, 캐논, 후지 카메라처럼 행동하였다면 오늘 날의 ‘무조건 항복’은 없었을지도 모릅니다. 지금도 재즈나 클래식 등 어쿠스틱한 음악을, “좋은 소리로 듣고 싶다”는 소비자가 많이 있고 그들이 좋은 소리를 듣기 위해 수천 달러에서 수만 달러를 흔쾌히 지출할 의향을 갖고 있지만 일본은 그 시장에 제대로 접근조차 못하고 있습니다.

(, 극단의 0…0%를 추구하였으나 오히려 부품 노화에 의한 극단의 오류가 생기기 십상인 Technics SU-Z65가 생각난다. 소리에 대한 감흥도 별로 없었던… 오디오와 소리는 감성적 주제이고 기기는 가장 단순한 게  장땡이라는 생각을 단단히 굳히게  되었던 사례)

○ 스마트폰 액세서리로서의 이어폰, 헤드폰 시장에서 고급화 추세와 시장 외연의 확대가 확연합니다. 일본 기업이 잘 하고 있는 부분도 있습니다만, 아무래도 중국인의 약진이 눈에 띕니다. 그것은 ‘실험실의 우등생’과 같은 일본인과 “인상적인 음을 만든다”에 치중하는 중국인의 성향 차이 그리고 마케팅 능력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튼 일본 오디오 산업은 거의 사라졌습니다. 이제 인정할 것은 인정하고 앞으로 집중해야 하는 ‘자동차 산업과 오디오 산업의 접목’에 있어서 다시는 과거의 실수가 반복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にかく、日本のオーディオ産業は、ほぼ消滅という寸前まで来ています。その「敗北の本質」をしっかり理解して、例えば自動車産業などが同じ運命をたどることにないように、しっかり反省することが重要と思います”, 표제부 사진은 산케이 신문이 ’20년 이상 롱런한 제품’으로 선별, 언급한 온쿄 FR-20 시리즈. 출처 : https://www.sankei.com/article/20190527-IA7XIDHUAJL2NF5PGRM6J3AIEY/)

 

2 thoughts on “대한민국과 일본, 오디오 시장의 상황은 엇비슷하다

  1. DENON,ONKYO, PIONEER, NAKAMICHI, LUXMAN등의 브랜드가 해외로 팔려나갔어도 일본은 아직 Teac, JVCKENWOOD, SONY, Panasonic(Technics), Accuphase 등이 남아 있습니다.
    삼성이 하만그룹을 인수 했듯이 LG도 맥킨토시 그룹이나 다른 하이엔드 오디오를 인수 했으면 하는 바람이 개인적으로 있습니다.

    1. 안녕하세요?

      저는… LG가 FA-5000 앰프의 다음 버전인 FA-5001을 장난삼아? 만들어주면 좋겠습니다. 만들기 귀찮으면 그대로 한 판 더!!!

      “국내 최초 라디오를 만든 회사가 까짓! 기업 이미지 제고 차원에서 그리하면 안 되나?” 그런 투덜거림 속 상상을 여러 번 해보았네요.

      “저희 TV, 저희 냉장고를 사시면… 그거, 그거… 네. 그거 한 대 드립니다”

      그러면 제 경우는… 필요도 없는 냉장고는 다음 날 중고로 팔아버리고 5001 오디오만 남기겠습니다만. 껌을 사서 껌은 버리고 껌 종이만 취한다고 해도… 누군가에게는 그런 게 더 합리적일 수 있지요?

      하하~

      새해 복 많이 받으셔요. 오랜 동안의 관심과 기여에 감사드립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