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 SOONDORI
● 마이크로 세이키 시스템
SX-8000II 턴테이블 본체와 RY-5500II 구동 장치와 RP-1110 공기 펌프 그리고 이것저것이 한 묶음.
벨트 드라이브 방식, 8극 싱크로너스 모터 + CR 발진기, 0.03mm 공기 부상 + 플래터의 LP 흡착 효과 제공, 기타 스펙 N/A, 총 중량 134.5Kg, 1984년, 1식 가격 약 170만 엔.
(표제부 사진 포함 출처 : https://www.ebay.com.au/itm/195974401872)
(출처 및 추가 정보 열람 : https://audiomaniacy.pl/index.php?topic=1896.50)
공기로 뭘 부양함으로써 기계 마찰을 없앤다는 발상의 초중량 턴테이블의 가격표가 170만 엔이라면… 그냥 편하게 곱하기 10 하고 60년쯤 전의 상황을 상상하여, 뭘 더하고 뭘 빼고 뭘 나누고 뭘 곱하면… 대충 1억 원쯤의 느낌?
* 관련 글 : Marantz TT-1000 턴테이블과 Micro Seiki 솔루션
● 캔우드 시스템
이 턴테이블도 꽤 무거운 제품이다. 중량 비율은, 약 30 나누기 약 170 = 약 18% 수준.
PLL DD 방식, 총 중량 31Kg,두랄루민 압입 알루미늄 플래터, Wow & flutter 0.02% 이하, S/N -94dB, 1979년.
소개 시점 가격은 약 38만 엔. 마이크로 세이키의 감각적 가격을 기준으로 비율 계산하고, 5년쯤 더 일찍 나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2천 오~백만 원쯤?
* 관련 글 : Kenwood L-07D, 분리형 턴테이블
그렇고… 몇 가지 생각을 적어 두기.
1) Micro Seiki SX-8000의 후속 제품인 Micro Seiki SX-8000 II가 그들의 기대만큼 팔리지 않았을 것이다. 왜냐하면, 다음 해에 플라자 합의가 있었고 일본은 버블 붕괴의 국면으로 직행하였으니까. 반대로 이야기하면, SX-8000 II은 돈이 차고 넘치던 시절에 만들어진, 가정용 시스템의 경계점을 훌쩍 넘어간 제품. 선을 넘었다는 표현이 적절할 듯. 그리고… 왜 스펙 제시가 없음? 호사가 전용이라서 인터넷에 풀릴 사정이 안 되었거나 그럴 만한 문서가 없었던 탓인지? 있지만, 8극 모터 사용과 에어 베어링 사용 그리고 형태에 관한 것 이외의 원하는 숫자가 없다.
2) 예전에는 별 생각이 없었는데… 요즘은 ‘벨트 드라이브 방식’이, “싸게 만들고 싶어요”와 “극정밀 전자제어 시스템을 만들 자신이 없어서 오로지 금속과 무게로 승부하겠습니다”, 둘 중 하나로 읽힌다. 삐딱한 시각으로 보면, 못 만드니까 저게 더 좋다고 빙빙돌리며 무거운 쇳덩어리에 거액을 부르는… 가끔은 고철상 마인드로.
3) 시대 기술이 발전하여, 캔우드의 것보다 더 좋은 모터와 캔우드의 것보다 더 좋은 제어 시스템 기술이 나왔음에도 그것이 잔류 턴테이블 제작사 쪽으로 넘어가지 않는다? 설마, 그럴 리가… 그들은 다 알고 있지만, 그렇게 하면 돈을 벌 수 없음. 이것을 다른 말로 표현하면, “과거에 비해, 소비자가 인식하는 턴테이블의 속성이 달라졌다”. 생태학적 기재에 의해서 공급자와 소비자의 의견이 한쪽으로 수렴하는 것이기도 하고.
please send me prices fo both units.
most interting for the Kenwood.
I leave in Thessaloniki -Greece.
Thank you.
Γειά σου;
Οι φωτογραφίες είναι εικόνες δημιουργίας περιεχομένου. Εάν θέλετε να κάνετε μια αγορά, συνιστάται να επισκέπτεστε τακτικά τον παρακάτω ιστότοπο ή να επικοινωνείτε με τον ιστότοπο μέσω email.
hifido.co.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