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 SOONDORI
66KV, 345KV, 765KV와 같은 슈퍼 울트라 초고전압 전력을 내보내는 모든 과정에서… 하늘이 무너져도 금속과 금속은 맞닿아야 한다. 빈티지 오디오 안에 들어 있는 기계식 스위치의 접점 운동과 완벽하게 같은 조건.
낮은 전압 & 작은 전류가 흐르는 게 아니므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게 되는데…
1) 감전 사고 위험 때문에 사람이 직접 조작할 수 없음. 당연한 일 → 원격 시스템 제어.
2) 스위치가 붙고 떨어질 때, 대단히 강력한 아크가 발생할 것은 뻔한 일 → 접점 형상과 구조를 개선하고 불화황가스(*) 등을 봉입한다. 듣자니, 뭘 해도 큰 소리가 난다고.
* SF6(Sulfur Hexaflouride)는 지구 온난화 문제 때문에 철저히 관리되고 있음. CO2 등 다른 가스로 대체하는 연구 또는 제품화 진행 중.
(출처 : https://www.epa.gov/sites/default/files/2018-08/documents/12183_sf6_partnership_overview_v20_release_508.pdf)
그런 조건의 초고전력 단속 스위치를 <가스 봉입 절연 스위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라고 한다. 근사치의 표준 구조는 아래와 같다.
(출처 : https://howelectrical.com/gas-insulated-substation/)
(▲ 모든 게… 땅바닥은 거대 접지면으로 시공. 그 위에서 모든 게 격리되어 있다. 100원짜리 토글 스위치를 쓰는데 새시 그라운드 등에 100만 원을 들이는 형국)
(출처 :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Concept-illustration-in-exemplary-GIS-arrangement-GIS-disconnector-and-GIS-busduct-with_fig1_271072893)
<조금 큰 스위치>를 가져와 빈티지 오디오에 투영해 보면,
1) 확실히, 딸깍거리는 릴레이가 그것.
요즘은 흔히 밀폐형이거나 가스 봉입식. 오디오 극상기의 기기 중 가스 봉입식 릴레이를 쓴 것이 있는지? (맥킨토시의 광고물에서? 가물가물) 그래서, 상시 공기에 노출되는 구형 릴레이를 최근에 나온 밀폐형 릴레이로 교체해 주는 것이 좋다.
한국 릴레이 또는 파나소닉 제품으로.
(▲ ‘세척 가능한 몰딩 타입’, ‘Sealed Construction’, 또는 ‘밀폐형’이 가스 봉입식이라는 뜻일까? 각자는 전혀 다른 관점의 것)
2) 구 품 릴레이의 뚜껑을 떼어낼 자신이 없다면, 이판사판으로 다음과 같이 조치. 핵심은, 구멍 뚫는 과정에서 플라스틱 조각이 릴레이 안쪽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 드릴날을 천천히 손으로 돌리는 게 좋다. 옆구리 청소기를 가동하면 그나마 도움이 될까 싶은…
아무튼, 구형 릴레이만 교체해도 소리가 한껏 좋아진다. 물론, 누구든 할 수 있는 가변저항 돌리기 = DC Balance 조정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