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 SOONDORI
매우 생소한 브랜드인데… 무엇을 열심히 만들되 일본 시장에만 집중했던, 금성사 VCR의 클론 버전을 만들기도 했던 주식회사 인빅스(Inbix co. ltd)의 정체는 무엇?
그 단순한 질문에서 시작한다.
● VCP-8000L 포터블 VCR
1980년대 중반쯤 소개된 금성사 VCP-4150/VCP-4100의 클론 버전이다. 이것은 참으로 희한한 사례.
* 관련 글 : 금성사 VCP-4150 포터블 VCR 사진들
● HWC-100 포터블 CDP
제법 그럴듯한 빈티지 風. 그러나 2프로쯤은 대단히 어설픈 모습.
(▲ 대만제이지만, 어댑터에도 Inbix 표시. 지극정성이다. 표제부 사진 포함 출처 : https://auctions.yahoo.co.jp/jp/auction/l1131035894)
● KX-16S 카세트 플레이어
확실한 염가형 제품. 그러나… Made in Korea 포맷은 그대로.
(출처 : https://www.ebay.com/itm/187067822672)
● BT-1300 포터블 TV
이것 역시 염가형 제품.
(출처 : https://www.ebay.com/itm/187067822672)
최근 일본인 손정의가 AI 어쩌고 하며 방방~ 뜨고 나대던데? 그러면, 일본 야후가 스스로 스마트한 AI를 이용해서 뭘 좀 알려주려나?
검색창에, ‘INBIX インビックス’를 입력. 역시 대단한 IT 후진국인지라, 빨대 꽂은 카카오 때문에 뭘 좀 털리고, 간신히 버티고 있는 DAUM 수준의 결과뿐. 꽝!이다.
그러면… B가 아닌 3이라면?
‘in3ix’로 검색. 조금 더 많은 결과가 나온다? 아무리 봐도 영문 B인데, 평균적으로는 많은 사람들이 숫자 삼, 3으로 인지를 하는 모양.
● Walkie-Talkies
“그걸 누가 몰러?” 말장난 같은 모델명 부여.
(출처 : https://jp.mercari.com/item/m30081421527)
아~하! 설명서는 홍콩에서 인쇄, 기기 제조국 표시는 차이나!
그런 식이라면, Inbix이든 in3ix이든, in4ix, in5ix든 뭐든, 그냥 단순한 일본의 유통 브랜드가 되어버린다. 수출형 Made in Korea 브랜드 상상은 완전히 안드로메다 상상이었던 것이고. 에라이~!
이제, 금성사 VCP-4150 대 인빅스 VCP-8000L 비교 모드로 다시 돌아가서 가설을 세워 보면,
1) 해외에서는 헤드 드럼에 대해 금성사 쪽 식별 코드를 쓰고 있음. 그렇게 보면, VCR의 설계 원본은 금성사의 것.
2) 염가형을 몹시 좋아했던 일본 유통 사업자 Inbix가 그쪽 시장에 들이밀, 적당히 커스터마이징된 제품을 금성사에 요청했던 것이다.
이견 없으면, 그것으로 끝. 사요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