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ATABASE > 금성정밀공업의 SA-7270/SA-9270 스펙트럼 애널라이저

금성정밀공업의 SA-7270/SA-9270 스펙트럼 애널라이저

글쓴이 : SOONDORI

FPGA, DSP 등 전자부품이 마운트된 PCB 보드에 OS를 깔고 전용 프로그램을 돌리고, 10Kg를 훌쩍 넘어가기에 손잡이를 붙이고…

그런 게 흔한 빈티지 스펙트럼 애널라이저 구조이다. 디지털 방식이 그렇고, 국부발진기 주파수를 빠르게 돌리는(=Sweep), 여차저차 아날로그 연산으로 도메인을 바꾸는 스펙트럼 애널라이저도 있음. 초기형 흥창 제품 정도라면… 오히려 그게, Real-Time이라서 좋고, 저렴해서 좋고, 그래서 빈티지 DIYer에게는 종합적으로 좋을 수 있을까?

그렇고…

LG Precision 시절, 그러니까 1995년 <신라 방글이 로고> 사용 이후, 그러나 1990년대 중반 이전에 소개되었을 SA-7270/SA-7920은, 2000년 5월부로 사명이 변경된 LG Innoteck 시절에도 생산됨. 길게 잡으면, 근 35년 전이다.

그 논리라면, SA-920/SA-930/SA-990보다는 선대급일 듯. 디자인 틀 판박이에, 소소한 스펙 차이 외에 무엇이 크게 다른지는 잘 모르겠다.

(SA-7270) 9Khz~2.7Ghz/(SA9270) 9Khz~2.9Khz, 입력 +30dB~-110dB, 7.4″ TFT LCD, 350mm × 185 × 381, (SA-7280) 약 8Kg/(SA-9270)9.4Kg, 1990년대 중반.

다음은 182 페이지짜리 사용자 매뉴얼에서,

(▲ 문서화를 잘하는 기업이 실력이 있는 기업. 문서화 작업의 중추인 QA(Quality Assurance)가 QC(Quality Control)보다 상위인, 기업 감사 조직에 준하는 높은 위치에 있어야 한다고 침 튀기며 이야기해도… 대화 상대는 늘 고개를 돌리더라)

* 관련 글 : 그 시절의 구미공단

(▲ 언급된 미쿡 Aereflex iFR2093A는 Made in USA. 아마도 최상위 등급이었을 것. 그들의 전체 제품군 중 일부는 금성정밀공업/LG이노텍이 제조. 그런데 그것이 ODM이냐 OEM이냐에 관해서는… 꾸준히 ODM에 한 표)

* LG SA-9270A 스펙트럼 애널라이저 사용자 매뉴얼

(▲ LG가 레퍼런스 기기로 삼은 Aereflex iFR2093A. 9Khz~22Ghz, 1990년대 중반. 출처 : https://www.ebay.com/itm/326151629338)

국산 스펙트럼 애널라이저 중심의, 일련의 글쓰기는 여기까지. 그저… 고오~급 빈티지 계측기 세상에서, 대한민국이 무엇을 하려고 했는지 알고 싶었다.

[ 관련 글 ]
Protek 브랜드와 흥창의 상관관계
LIG NEX1의 각종 스펙트럼 애널라이저, Made in Korea
ED PSA-3000 스펙트럼 애널라이저, Made in Korea
ED DSA-8400 스펙트럼 애널라이저, Made in Korea
LG Innotek SA-920/SA-930 스펙트럼 애널라이저, Made in Korea
흥창물산 HC-7802 스펙트럼 애널라이저, Made in Korea
주식회사 한국제어계측의 Kotronix 브랜드
흥창물산 HC-5602/HC-5604 오실로스코프, Made in Korea
흥창물산 U-2000 유니버셜 카운터, Made in Korea

마지막 머릿속 생각은,

전 세계 일반 상용 계측기 시장에서, 대한민국은 이것도 저것도 아닌 존재. <소-부-장 결핍 현상> 그대로이다. 그러니까… 미제와 중국제 사이 놓인 것의 맥박은 뛰지 않는다. 그러면, 과거형 경상도 구미시도 상대적 어려움이… (표제부 사진 출처 : http://www.museu-tecnologia.com.br/wordpress/?attachment_id=2168)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