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 SOONDORI
어떤 온도의 고압 기체나 고압 액체를 금속관에 주입하고 스스로 와류를 형성하게 만들었을 때, 관 한쪽에서 주입시 보다 높은 온도의 것이, 반대편에서는 더 낮은 온도의 것이 나오는 현상을 말한다.
논리상, 두 온도 차의 합 = 0.
현상을 정의하는 명칭은, 1931년 프랑스인 조르주 랑크와 1934년 영국인 폴 디렉이 각각 발견한 것을 묶어버린 ‘Ranque-Hilsch 이펙트’ 또는 ‘Ranque-Hilsch Vortex Tube’.
(출처 및 테스트 정보 열람 : Experiments on water droplet separation in a Ranque–Hilsch vortex tube-RHVT
주입 매질에 대해서, 의도된 회전 맴돌이를 활용하여 온도와 기체 운동에너지를 분리한다는 점이 매우 흥미로운데… “이런 것을 우연히 발견하시다니… 대단하십니다아~!”
산업분야에서 국부 냉각용으로 사용 중. 절삭, 절단, 기타… 그쪽은 공압시스템으로 움직이니까 응용에 부담이 없다.
(출처 : https://www.ebay.com/itm/385560261077)
(내용 추가) 극초기형 핑거 타입 초음파식 윈드센서도 그렇고… 구 소련 또는 러시아에는 무엇에 극도로 일로매진한, 그래서 희한하거나 특별한 제품이 있더라.
온도 범위 -46도~+127도, 기체 유속 28~ 4248SLPM(분당 리터), 열용량 10,200 BTU/hr(2,571 Kcal/hr)
(출처 및 문서 정보 열람 : 러시아 Exair-Vortex tube 소개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