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 SOONDORI
MPX 보드와 전원 보드와 케이블과… 모든 것이 준비되어 있다. IF단에서 넘어올 <검파 후 신호>만 빼고.
* 관련 글 : 튜너 동호인의 고수준 MPX 보드 (2), 회로 일람
일단, 준비된 커넥터를 모두 연결하고 이것저것 살펴보기.
■ 전원 보드
양파 전원 출력은 -13.52V, +13.46V. 리플 전압은, AC 1.5mV 범위 내에서 등락 중. “잘 만드셨다!”
■ PLL MPX 스위칭 디코더 보드
1) 펑션제너레이터로 묻지 마 19Khz 주입하기.
아이쿠~! 너무 밝은… 어쨌든, Stereo LED 점등!
2) HA12003 IC의 #4/$5핀에서 듀티비 50%에, 38Khz로 교반하는 방형파 펄스가 나온다. 원론 충족. 다 좋은데…
Rising Edge, Falling Edge에 완만한 슬로프가 포함되어 있음. 조금 더 사각형에 가까운 펄스를 기대하였는데, 조금 이상하다. 이유는? 과소 입력? 과다 입력?
아래는, 비교용으로 기록해 놓는 Kenwood L-01T 튜너의 교반 출력 예시. 약간의 Over Shoot가 있지만, 이상적인 방형파 형상에 더 부합함.
* 관련 글 : Kenwood L-01T FM 전용 아날로그 튜너 오버홀 (10), MPX 및 기타 회로
3) 이번에는 교반 펄스가 흐르는 곳과 연결된 OP.AMP #2핀의 파형 살펴보기.
아하? 노이즈성 Peak가 보인다. 앞서 목격한 Slope가 어떤 변형 과정을 거친 결과일 듯.
이러면, MPX IC 전단 선처리 영역 또는 MPX IC #4/#5핀에서 OP.AMP #2핀까지의 영역에 있는 커패시터 등 부품이 최대한 재빠르게 반응하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되는데… 종종 보는 디지털 펄스 형상을 기준으로는 그렇다.
조정점이 있다. 여러 개 트리머가 있으니 상황을 달리할 수 있을 듯하고… OK! 일단은 여기까지.
그리고… 흔히, Composite Signal이라고 하는, (L+R)과 (L-R)과 19Khz를 적정 비율(=90%, 10, 22.5% 등)로 주입할 방안을 찾아봐야겠다. 왜냐하면,
일반 튜너의 검파회로 종단에서 신호를 꺼내서 주입하는 방법은, 그 튜너가 무엇이냐 그러고 어떤 상태인가에 따라서 모든 게 달라지기 때문에. Unknown 변수가 개입되니까, 최적 대안이 아니라는 생각이고, 바로 그런 상황 때문에 아주 비싼… 로데 슈발츠의 거대한 신호 합성 장치를 쓰는 것이려니 한다. DIYer에게 완전히 넘사벽인 세상에서는.
뭐… 찾다가 못 찾으면 그렇고 그런 SONY 튜너에 점퍼 날리기.
* 관련 글 : 튜너 동호인의 고수준 MPX 보드 (4), MPX 파형 다듬기 그리고 Composite Sig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