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 SOONDORI
실물 관찰 제어펄스에 대한 이런저런 생각을 기록해 둔다.
* 관련 글 : 튜너 동호인의 고수준 MPX 보드 (3), 연결하기
회로 내 어떤 동작 판단점이 있어서 Peak 노이즈가 있어도 잘 처리될 듯. 그러나, 흔한 Over-Shoot 또는 Ringing 현상처럼 보이기에… 뭘까? 이유를 알고 싶은 것.
Qspice를 돌리고… 개별 소자의 모델 정보(.model)을 쓸 수 없으니, 묻지 마 변수값을 주면,
(▲ 교반 펄스를 받은 Q1이 J1 Junction-FET를 제어 → J-FET ON = 수도꼭지 열기. 그러면, SIG_IN으로 표현된… 실물 회로의 <검파 후 신호>가 더 앞쪽으로 흐른다. J-FET OFF = 수도꼭지 잠그기. 캔우드는 이런 트랜지스터-FET 조합을 하나의 소자처럼 반복 사용하고 있다)
* SIM. FILE : Kenwood KT-600T MPX Pulses
심심풀이로, 입력 신호를 50hz, 교반 제어 펄스를 50hz로 조정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 시뮬레이션 모델 정보가 생략되어 있으니 충분히 믿을 것은 못 되지만… 요지는, ‘모종의 결과 = fx(교반 펄스, 입력 신호)’인 것. 상관관계가 있다. 그러니까, 뭘 잘하면 <검파 후 신호> 안에 들어 있는 38Khz 옆구리 (L-R)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는 뜻이 되고.
그렇고… 실물 MPX #4/#5핀의 방형파 왜곡은 커패시터에서 출발. 시정수만큼 살짝~ Delay → 너무 당연한 물리현상이므로 여기까지는 모든 게 정상.
특이하거나 아니면 뭘 못찾아서? 보이는 게 그대로라면, 특이하게도 220uF 커패시터를 통해서 트랜지스터 바이어스를 처리하고 있다. DC는 블로킹, 펄스/AC 성분은 통과. Isolation을 연상하게 됨. 그 포인트에 연결된 라인이 종단 스위칭 영역 내 ICc3 OP.AMP의 인버터 핀으로.
그리고 그것의 2번 핀에서 앞선 PEAK 파형을 관찰하였던 것이려니 했는데…
(▲ 당구대 ※가 붙은 주석에 대해서, “Application from SN 43XXXX”라고 적혀 있음. 뭐라카시는지…)
아하! 그런 게 아니고… 현재 Qc14와 Qc15가 OP.AMP로 대체된 상태라고.
“… 원 회로도상 Q14,Q15 부분이 OP 를 사용하는 버퍼로 개조가 되었기에 차이가 있을것 같습니다. 이러한 변경은 TR 을 사용하는 경우 앞 뒤단에 커플링이 사용되어야 하는데, 음 품질 향상을 위해 이런 커플링 콘덴서들을 줄이기 위해 고려된 사항이었습니다…”
Dual OP.AMP 핀 할당 규칙에 따르면, #2는 (동위상 유지 조건에서) Inverting(-) 입력일 것이니, 그러면 Cc22에 해당하는 포인트에서 관찰한 것과 같고, 그러면 Qc6의 Souce에서 측정한 것과 같고, 그러면, 캔우드가 즐겁게 사용한 <트랜지스터-FET 조합 드라이버>의 출력에서 측정한 것이 되어버린다. 그러면…
에미터 팔로워 Qc14 Base에서 측정한 것과 같다.
오호라? 그러면… 취급 부담이 별로 없는 기계-전기식 릴레이의 1차 측 통제가 아니고 섬세한 신호를 직접 취급하는 경우이며, 수도꼭지 통제 회로에 어떤 부정합이 있다는 이야기가 되니까, 잘 따져봐야 하는 일이 되었다.
일부분는 Slope가 있는 방형파의 영향이기도 하겠지만, 뭘까? Qc6가 2SK68이 아니어서, 또는 Qc7이 2SC1345가 아니어서, 또는 V_gs나 C_gs가 달라서, 또는 기타가 캔우드 설계치와 달라서?
(내용 추가) 덮고 넘어가려고 했는데… 조금 더 따져보니, Qc7 Base에 붙은 CR 필터 때문이다! “뭣도 몰라서… 괜히 화들짝 놀라서 일을 크게 만들었네?”
그러면서, L-01T에서 본 그 짧은 펄스를 기억하게 된다. Sampling 트리거 그리고 (다른 것에 의한) Hold용 통제 변수.
L-01T는 Gate 회로까지 이용해서 더 정밀하게 트리거 펄스를 만들었던 것이고, 근 10년 전에 소개되었던 KT-600T는 간단한 아날로그 필터로 그것을 해결하고. 그런 것 아닌가? 정체를 알 수없는 FLc1 필터가 바로 뒤에서 기다리고 있기에, 캔우드가 어떤 것을 의도했는지는 잘 모르지만.
헛! 실물 회로를 더 조심스럽게 관찰해 봐야겠다. 다음 글에서 계속.
* 관련 글 : 튜너 동호인의 고수준 MPX 보드 (4), 제어 펄스에 대한 검토 #2
NEC 2SK68에 대해서, a) Input~Source 기생정전용량을 평가하고, b) 단속 동작 Saturation 영역 진입을 위한 보수적 V_gs 값을 고려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