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 SOONDORI
인켈 전용 스티커 문양을 만들고, 그것을 기기 후면에 열심히 붙이도록 한 어떤 분의 발상은, 정말 탁월하고… 고맙다. 그 스티커가 없었다면, Made in Korea 찾는 것은 매우 어려웠을 것. 물론 다들 앞만 바라보고 있어서, 있어도 쉽지는 않지만.
이하는, 바스프 컴포넌트 오디오에 대한 제조국 따지기 MEMO.
(▲ 이 사진은, 화학 전문기업 BASF와 그들이 잠시 만들었던 각종 테이프 매체와 빈티지 오디오의 상관관계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출처 : https://www.hifi-archiv.info/BASF/BASF%20D%206200%20Test/index.html)
* 관련 글 : 빈티지 AUDIO : 스트립 포커
● 조합 사례 #1 : BASF D-6200 디지털 튜너, BASF D-6360 인티앰프, BASF D-6235 카세트 데크
D-6360 인티앰프 = Made in Korea, D6235 카세트 데크 = D6324의 Made in Korea 버전이 있으니까, Made in Korea로 간주.
(출처 : https://www.ebay.com/itm/186755001989)
* 관련 글 : 인켈 D-6334 카세트 데크 그리고 독일 BASF
그러면, D-6200 튜너는?
아래 자료에서, (대단히 희소한) 국산 최초의 디지털 튜너는 제 짝이 아니다.
* 관련 글 : 인켈 최초 디지털 튜너, TD-1000
● 조합 사례 #2 : BASF D-6200 디지털 튜너, BASF D-6275 인티앰프, BASF D-6234 카세트 데크
과거 등급 분류 관행으로 보면, <조합 사례 #1>보다 상위 등급의 제품군.
관성 제조를 많이 했음에도… 아래 이미지를 보면, 인켈의 제조 방식이 아님. 즉, ASF D-6200 디지털 튜너와 BASF D-6275 인티앰프는 Made in Korea가 아니라는 판단.
(출처 : www.olx.pl)
그럼에도 여전히, VFD 형태가 익숙한 이유는? 수평 방향으로 180도 뒤집으면, 인켈 TD-910F 등 튜너 그룹의 VFD와 같으니까.
(▲ BASF D-6200.▼ “뭔가 차별성이 있어야 하는데… 형씨, 내 꺼는 좀 뒤집어주쇼!”라고 했을 것 같다. 출처 : https://web.joongna.com/product/181355546)
그렇게 보면… 부품별 설계 사양이라는 게 있고 특별 주문품이었을 것이니, 전체 패키지를 설계한 조직이 따로 있었을 것. 그게 BASF이든 어떤 일본 기업이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