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 SOONDORI
아래 야마하 팸플릿의 설명에서, “MPX 회로는 야마하의 독자적인 트랜지스터 스위칭을 이용한 ‘평균 복조 방식’을 채택하여 왜곡과 분리도를 향상시킵니다.”가 눈에 들어온다.
AM/FM, FM 4련, 20~16Khz±1dB, S/N 70dB, THD 0.4%, SEP. 45dB, 1973년.
Average Value Demodulation은 무엇?
꽤 높은 등급의 시스템인 듯한데… 자료가 없음. 궁리하자면, a) MPX를 언급했고, b) 트랜지스터로 스위칭을 한다고 했으니, 아날로그 스위치를 38Khz로 통제하는 구조일 것이고, c) ‘평균값’을 거론한 것을 보면, 그 기본 사상이 Sample & Hold에 준하는 것일 듯하다. 소프트웨어/하드웨어적 Averaging은 순간 Peak성 잡음을 제거하는 작용 즉, 일종의 필터 연산 작용이 있으니까. 그리고 그것은 Holding 작용의 취지와 같음.
그리하여 <스테레오 분리 과정의 Signal Conditioning 효과 도모> 정도로, 마음대로 상상하기. 그리고 1970년대 초반부터 야마하는 MPX 회로 개선에 집중하고 있었다 정도로 기억해 두기. (야마하 표 특수 MPX는, 생각보다 덜 홍보가 된 듯?)
* 관련 글 : 여러 가지 Yamaha 튜너들
제 짝은 CA-700 인티앰프. (표제부 사진 출처 : https://www.hifi-archiv.info)
(출처 : https://archiwum.allegro.pl/oferta/yamaha-ct-700-ca-700-i7253059768.html)
‘소리’를 몹시 좋아하면서 든든한 오디오 무관 사업 분야를 갖고 있는 야마하는, 빈티지 오디오 고사의 시절을 극복하고 더 오래 활동할 것이라고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