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 SOONDORI
1980년경에 소개된 모델. 기술적으로 자신 있으니까, 두 장짜리 접이식 홍보문서에서 최대한 많이, 최대한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음. 망라적 항목의 수치와 그래프를 제공하는 제작사가 기술적으로 우월한 제작사. 당연히 그들의 제품이 좋다.
무조건 감추고 보는 훗날의 고가 깡통 튜너들과 비교해 보면, 세상사의 진실을 알 수 있음. (원본 문서 : 아큐페이즈 T-106 튜너 브로셔)
[ 관련 글 ]
Accuphase T-105 디지털 튜너, 브로슈어 살펴보기
Accuphase T-109V 디지털 튜너의 DGL 검파
Accuphase T-106은 Accuphase의 튜너 기술 중 최고를 상징합니다. 이 탁월한 디자인은 회로 영역별 안정성이 높고 왜곡이 낮은, 새로 개발된 DGL 검출기와 AM 구간에서 간섭 제거 능력이 뛰어난 동기 검출기를 모두 채택했습니다.
기술 발전에 따라 전자 튜닝 시스템이 시장을 장악하기 시작하며, 가변 회전 커패시터를 사용하는 기존 모델을 앞지르고 있습니다. 특히 메모리를 사용하여 방송국을 선택함으로써 튜닝 정확도가 높아지고 진동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납니다. Accuphase T-106은 정교한 쿼츠 록 신시사이저 AM-FM 스테레오 튜너입니다. FM 섹션은 시중에서 가장 진보된 전자 튜닝 회로를 통해 탁월한 충실도와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이 회로는 C-MOS IC의 지연 시간을 작동 원리로 사용하는 차동 이득 선형(DGL) 검출기와 기타 신소재 및 기술을 사용합니다. AM 섹션은 동기식 검출기를 탑재하여 강력한 간섭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왜곡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습니다. T-106은 간편한 조작과 독특한 디자인 외에도 최신 Accuphase 기술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성능과 높은 신뢰성을 자랑합니다. 편안히 앉아 T-106으로 원하는 음악을 감상하세요.
1. 전자 튜닝 시스템으로 높은 튜닝 정확도 실현
T-106의 고정밀 전자 튜닝 시스템은 ±0.002%의 석영 제어 정밀도로 원하는 신호를 수신합니다. 또한, 음향 피드백으로 인한 마이크로포닉이나 잡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튜닝된 주파수 채널은 최고 감도 지점에서 최소한의 왜곡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시간과 온도 변화에도 주파수 편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2. 14개 방송국 랜덤 메모리 및 펄스 튜닝 시스템
7개의 터치식 푸시 버튼을 이중으로 사용하여 최대 14개의 FM 및 AM 방송국을 랜덤으로 프리셋할 수 있으며, 필요할 때마다 불러올 수 있습니다. 불러온 방송국의 푸시 버튼 번호와 주파수는 전면 패널의 디지털 표시등으로 표시됩니다. 또한 T-106은 가변 커패시터 노브를 돌리는 “느낌”을 그대로 유지하는 “수동 튜닝”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는 튜닝 노브에 삽입된 새로 개발된 광 펄스 발생기를 사용하여 출력을 통해 신시사이저를 제어하고 튜닝된 주파수를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 FM 방송국 선택은 북미 및 비유럽 국가에서는 50kHz 또는 100kHz 단위로, AM 방송국은 북미 및 남미에서 9kHz 또는 10kHz 단위로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간격으로 핍(pip) 소리가 납니다.
3. 이중 동조 프런트엔드는 간섭 및 혼변조를 차단합니다
프런트엔드는 사실상 모든 튜너의 “심장”입니다. 입력 신호를 선택하고 증폭하여 10.7MHz의 중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검출기로 전달합니다. 이 부분의 설계는 감도, 간섭 제거 성능, 그리고 튜너의 품질을 결정합니다. T-106의 프런트엔드는 매우 중요한 RF 혼변조(Inter-modulation) 억제를 크게 개선했습니다. 이는 PLL 회로와 함께 작동하는 버랙터 다이오드를 활용한 진정한 전자 제어 시스템과 두 단계의 이중 동조 RF 회로 및 동조된 버퍼 증폭기를 사용하여 달성되었습니다.
4. 새롭게 개발된 차동 이득 선형 FM 4 검출기 및 평탄한 군지연 특성을 갖는 IF 필터
T-106은 새롭게 개발된 DGL(차동 이득 선형, Differential Gain Linear) 검출기와 평탄한 군지연(Group Delay) 특성을 갖는 특별히 선택된 중간 주파수 필터의 조합을 통해 최소 왜곡과 우수한 캡처 비율(Capture Ratio)로 안정적인 특성을 구현합니다. DGL 검출기는 그림 1과 같이 직렬로 연결된 19개의 고속 CMOS IC를 통합합니다. 위상각은 왜곡을 최소화하고 최상의 신호대잡음비를 얻기 위해 114° 지연됩니다. 지연 신호와 입력 신호는 배타적 OR 회로에 인가됩니다.
게이트 회로는 두 신호 사이의 전위에 따라 닫히거나(11, 00) 열립니다(10, 01). 변조에 의해 생성된 신호의 압축률(Compressed Ratio of Signals)을 디지털 방식으로 검출(즉, 논리 곱셈)하여 음성 신호를 얻습니다(그림 2). 지연 회로의 선형 범위가 매우 넓고(±5MHz) 회로 조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고품질인 선형 차동 이득 특성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전파 간섭이 강한 경우, 전면 패널의 스위치 조작을 통해 NARROW IF 필터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선택도를 중시한 수신이 가능합니다.
5. 최신 스테레오 복조기
최신 기술을 통합한 FM 스테레오 복조기는 실제 측정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거의 완벽한 성능 특성을 구현합니다. 실제 측정 결과는,
스테레오 분리도 : 68dB(1kHz)
전고조파 왜곡률 : 0.004%(1kHz 모노) 0.01%(1kHz 스테레오)
신호 대 잡음비(S/N) : 97dB
Subcarrier product ratio : 82dB
입력 신호가 약해서(20dBf 이하) 수신 상태가 불분명할 경우, 모노포닉 모드가 자동으로 선택되어 수신 상태를 개선합니다. 다음 단계의 오디오 회로는 특별히 엄선된 부품으로 제작되었으며, 음질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설계되었습니다.
6. AM 동기 검출기는 간섭을 완벽하게 차단하고 왜곡을 최소화합니다.
AM 수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T-106은 간섭 제거 성능이 뛰어난 동기 검출기를 사용합니다. 이는 표준 광대역 슈퍼헤테로다인 회로에 추가된 기능이며, 9kHz 필터는 인접 방송국의 비트(Beat)를 제거합니다.
그림 3(a)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의 시스템 다이어그램을 보여줍니다. 그림 3(b)는 동기 검출기의 다이어그램을 보여줍니다. 동기 검출기는 그림 4와 같이 입력 반송파에 매칭된 국부 발진 주파수를 믹서에 입력하여 오디오 신호를 집합적으로 검출합니다. 선택도는 오디오 회로에 제공된 저역 통과 필터의 특성에 따라 결정됩니다. 동기 검출기는 왜곡을 최소화하며 AM 스테레오 방송이 대중화되면 표준 부품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동기 검출기의 또 다른 뛰어난 특징은 그림 5와 같이 원하지 않는 방송국의 주파수가 원하는 방송국의 주파수보다 높거나 낮은지에 따라 측파대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야간에는 공중파가 강하기 때문에 동기 검출기는 특히 방송국 간섭이 문제가 될 때 유용합니다.
* 관련 글 : Sansui TU-X1 AM 편향 아날로그 튜너의 동기 검파 그리고, “왜 만들었는데요?
7. 두 가지 표시계
T-106에는 dBf 단위로 측정하는 신호 강도계와 최대 200%의 변조율을 표시할 수 있는 피크 변조계가 있습니다. 변조계는 다중 경로 감지계로도 기능하여 왜곡을 최소화하는 최적의 안테나 방향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변조계가 수행하는 기능은 푸시버튼 스위치를 통해 결정됩니다.
8. 기타 기능
사용 가능한 다른 기능으로는 약한 FM 스테레오 방송 수신 시 잡음을 줄이는 멀티플렉스 잡음 필터, 간섭이 강할 때 사용하는 선택 스위치, 방송국 간 잡음을 제거하는 뮤팅 스위치, 간섭이 있을 때 AM 측파대를 선택하는 측파대 선택기, 튜너 출력 레벨을 다른 프로그램 소스와 동일하게 조정하는 레벨 컨트롤 등이 있습니다.
■ 명시된 스펙 정보
일반 튜너보다 훨씬 더 자세한 정보를 제시한다. 그리고 “표기한 그대로를 보증합니다”라고 적었음. 다 좋은데…
어떤 것도 요약 항목의 다음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다. WHY?
아큐페이즈가, MPX 회로만 떼어내서 단독 성능을 평가하였기 때문임. 논리로는, 종합수치는 제시 수치에 열성인자가 더해진, 그 이상의 것이어야 한다. 실제로 그렇고.
[ 관련 글 ]
FM 튜너의 성능 평가 항목 일람 (1)
FM 튜너의 성능 평가 항목 일람 (2)
FM 튜너의 성능 평가 항목 일람 (3)
FM 튜너의 성능 평가 항목 일람 (4)
■ 그래프로 제시하는 스펙 정보
어떤 경우든, 그래프까지 제시하는 제작사는 신뢰할 수 있음. 그리고 그래프로 보는 게 더 정확하고 빠르다.
1) 안테나 입력 강도와 S/N
RF 98.1Mhz, 1Khz 신호, 서브 캐리어 68.25Khz + Pilot 6.75Khz = 75Khz 조건에서, dBf 단위 RF 전력의 변화에 대한 신호대잡음비 변화. 80dBf 기준 78dB쯤 → A-가중치를 주고 79dBf라고 적었다 → OK!
2) 안테나 입력 강도와 THD
RF 98.1Mhz, 1Khz 신호, 서브 캐리어 68.25Khz + Pilot 6.75Khz = 75Khz 조건에서, dBf 단위 RF 전력의 변화에 대한 THD 변화. IHF 표준 65dBf 기준 THD는 0.04%쯤 → 실제로 Normal Mode 기준 0.04%라고 적었다 → OK!
3) RCA 단자 기준 THD
RF 98.1Mhz, 1Khz 신호, 서브 캐리어 68.25Khz + Pilot 6.75Khz = 75Khz 조건에서, a) 6Khz 부근에서 THD 급증, b) 1Khz에서 0.015%쯤 → 요약 표기는, ‘TOTAL HARMONIC DISTORTION with SELECTIVITY switch set to NORMA 80 dBf input at ±75 kHz deviation : 20Hz 0.04%, 1000Hz 0.04%, 10000Hz 0.04%’ → 65dBf 입력일 것 같기는 하지만… 안테나 입력 강도를 적어 놓지 않았음. 그래프와 0.04%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없음.
4) 주파수 재생 특성과 분리도
안테나 입력 레벨을 65dBf로 명시함.
RF 98.1Mhz, 1Khz 신호, 서브 캐리어 68.25Khz + Pilot 6.75Khz = 75Khz 조건 그러면서 68.25Khz를 L과 R이 반분 점유하는 조건에서, 1Khz의 L과 R 엇박자 수준은 약 60dB → 실제로 Normal Mode 기준 50dB라고 적었다 → 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