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EXPLORE > 인켈 TD-2000과 TD-2220C 튜너의 스펙 비교

인켈 TD-2000과 TD-2220C 튜너의 스펙 비교

글쓴이 : SOONDORI

튜너 스펙 정보가 음특질을 그대로 말해주지 않음. 그러나, 수치가 낮거나 높은 게 어디에 좋다는 것은 기술적으로 입증되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가늠해 볼 수 있다.

믿을 만한 해외 빈티지 매거진에서 TD-2000를 테스트했고 마침 셔우드가 TD-2220C 스펙을 아주 조금 더, 자세하게 공개하였기 때문에… 심심풀이 비교해 보기.

[ 관련 글 ]
인켈의 자존심, TD-2000 디지털 튜너를 다룬 어떤 기사에서…
인켈 TD-2220C 디지털 튜너

■ 외형 설계

당연하게 TD-2000 우세. 경비 절감형이 아닌 튜너 & 힘없는 LCD가 아닌 VFD를 쓴 튜너이고, 디자인 틀이 매우 유니크하며, 더 다양한 해외 브랜드의 리벳지 버전으로 판매되었다. 즉, 누가 봐도 World Version!

TD-2200C는 국내용 & 셔우드 버전 Only.

■ 회로 설계

1982년에 소개된 TD-2000(Sherwood S-6010CP, Uher 등 기타 브랟드 명)은, 메인보드에 직접 구현된 FM 4련 프론트엔드 회로 + HA12412 IF IC/복동조 직교검파 + HA12016 MPX IC 조합.

10년쯤 지난 시점의… 1990년대 초반에 소개된 TD-2220C는 독립 Front End 모듈(Mitsumi F-3630) + LA1266 IF IC/복동조 직교검파 + HA12016 MPX IC 조합.

■ 수치 정보

여러 제작사별 스펙 제시는… 그들이 요리조리 피해다니는 느낌이 있다. RF 입력 강도가 다르거나, 듬성듬성 뭘 빼먹고 수치를 제시하거나. 그런 식이라서, 완벽한 1:1 비교는 어렵다.

아무튼, 되는 대로 표로 정리해 보면,

○ 테스트 기사에서 어떤 조건으로 실용 감도를, 기타를 측정하였는지는 모호하다. IHF 규격에 따랐을 것으로 간주하면, TD-2000 > TD-2220C. (여기서, DIN 테스트 조건이 IHF와 다르다는 점에 유의)

○ TD-2220C의 50dB Q.S. 감도는 매우 열세. 그 말은 TD-2000의 전체 회로가 확실한 강세라는 뜻.

○ 주파수 응답 특성은 대등 비교가 어렵다. 다만, TD-2220C의 것이 생각보다 나쁘지 않다는 점 강조.

○ S/N은 체감하기 어려운 수준. 그러나, 수치만으로는 역시 TD-2000 강세.

○ 분리도는 대동소이. 이런 범용 튜너에서는, 어떤 MPX IC를 쓰느냐에 따라 달라질 항목인데… 마침 동일한 MPX IC를 썼으니까, 당연한 일?

○ 가장 찝찝한 것이 TD-2220C의 THD 수치 0.4%이다. 뭐… 쉽게 체감하기는 어렵다. 다만, 그냥 거시기함. 왜 악성 수치가 높아진 것일까?

1) 가장 중요한, 소비자 가격의 차이.

– TD-2000의 소비자 가격 250달러 × 1982년의 원화-미화 환률 731.49원을 곱하면, 18만 2,873원이다. 그것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때문에 Pass. 어떤 사이트 제시 물가상승률 318.39%를 곱하면, 2024년의 765,665원이라고. 그러면, 77만 원짜리 신품 TD-2000 튜너를 산다? 안 산다? 냉큼 산다.

– 같은 조건으로, TD-2220C 후면에 적힌 108,482원을 입력하고 시점을 (임의로) 1992년으로 설정하면, 2024년의 27만 7,195원이 된다. 그러니까… 대략 TD-2000보다 1/3 정도 싼 튜너.

2) TD-2220C의 프론트엔드가 밑바닥 수준인 3련. 이것은 낮은 선택도 수치와도 관련이 있는 것.
3) TD-2220C에서 세라믹 필터를 몇 개 빼먹었을 것 같고…
4) TD-2000에 사용된 각종 코일의 품질이 더 좋고,
5) TD-2220C는, 포스트앰프 회로 LPF가 대충 대충이다. 얼렁뚱땅.
6) TD-2000에 한영전자의 차폐형 트랜스포머 사용되었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수라기 보다는, 그런 제품을 쓸 만큼, TD-2000의 설계/제작에 집중하였던 것으로 이해하기.

(▲ TD-2000. ▼ TD-2220C)

○ 당연히 TD-2000이 더 나을 것이지만. SCA 제거 비율 등 <튜너의 5대 평가항목> 외 수치는 정보 부재로 비교할 수 없음. 다르 게 상상하자면, TD-2220C에서는 별로 좋지 않은 수치에 대해 노출을 자제한 듯.

■ 종합 의견

누구든 TD-2000이 TD-2220C보다 좋다라고 인식하고 있을 것. 좋은 것은 그냥 그런가 보다 하고 넘어가고,

1) TD-2220C가, 빈티지 오디오 세상의 끝물쯤인 1990년대의 전형적인 보급형 튜너 또는 염가형 튜너 또는 원가절감형 모델이라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음.

2) 실물 디자인 윤곽은 꽤 또렷하고 느낌도 좋은데, (앞서 언급된 것처럼) 싸구려 디자인 LCD + 백라이트 구조가 불만. LCD 사이즈가 약간만 더 크고, 약간만 야마하스러운 아기자기 문자나 문양이 가필되었다면 좋았을 것을…  쩝! +1원도 아까와서 못했던 것이겠지만.

3)  TD-2220C가, (심적 부담이 없는) DIY 개선 여지가 있는 튜너일 수도? a) 전원부의 만지작만지작 보강에,  b) MPX IC 클럭을 안정화하는 시도도 충분히 가치가 있을 듯. 잘 돌아가는 CDP에 괜스레 뭘 붙이는 것보다는, 튜너의 빈틈을 노리는 것이 더 재미가 솔솔~ 하겠다.

4) 보기도 어려운 TD-2000보다는 쉽게 구할 수 있고, 내부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셀프 학습 대상으로 제격. 마침 셔우드 서비스 매뉴얼이 인터넷에 공개되어 있다.

셔우드 TD-2220C 서비스 매뉴얼

5) 조금 더 시간이 지나면, TD-2220C가 점점 희소해지고 그럼으로써 국산품으로서의 가치는 올라갈 것. 그렇게 되기를 바란다.

* 관련 글 : ~할 뻔하다


소중한 TD-2220C의 스펙 정보.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