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 SOONDORI
검은색으로 채색하면, 그리고 모두를 모아놓으면, 평범한 것도 강하고 멋진 시스템처럼 보이게 된다. 차분한 Black Effect.
우연히 만난 컴포넌트 시스템에 그런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 참인데, 마침 인터페이스 요소의 배열까지 특이하다. 다다미방 깔개를 만들 듯, X축과 Y축에 극단의 균형감을 주는, 매우 조밀한, 잘 정렬된, 전형적인 일본식 레이아웃에서 살짝 비켜나간 듯한…
[ST-2980 튜너] AM/FM, 20~15Khz, SEP. 30dB, THD 0.2%, [SA-2980 인티앰프] 25W@4오움, 20~40Khz, [RN-115D 카세트 데크] Normal/CrO2, Dolby-NR, 30~15Khz, S/N 58dB, [공통] 가로폭 400mm, 1970년대.
산요 STK461 파워팩이 들어간 인티앰프이니, 그 자체로 Good! 내부도 정갈하다.
(출처 : https://forum.retrotechnique.org/t/amplificateur-denon-sa-2980-a-depanner-stk461/120238)
(표제부 사진 포함 출처 : https://archiwum.allegro.pl/oferta/denon-sa-2980-st-2980-super-stan-licytacja-bcm-i7318162520.html)
“두루~ 작정하고 만든 제품인걸?” 그런데, 철없는 아노미 현상이 있었던 것인지? 변형된 Denon 로고가 특이함. Denon 대신에 Columbia 로고를 쓴 제품도 있다.
타자기로 매뉴얼을 만들고, 독일어가 적혀있다고 함은, 1970년대의 독일 중심, 유럽 시장을 공략하려던 제품으로 보면 될 듯.
그래서 디자인 감각이 남달랐던 모양이다. 과거 인켈 DNA의 서음전자 디자인이 다른 국내 제작사에 비해 남달랐던 것도 그 배경 하에 있다고 생각하고 있음. 괜히, 독일어 연상 발음의 슈트라우트(Sturaut)가 아니었다는… 아무튼,
서음전자風 디자인 냄새가 물씬 풍기고 있음. 반대로 이야기하면, 독일風이 곧 서음전자風.
(출처 : https://www.hifi-archiv.info/Denon/Denon%202980-Serie%20Datenblatt.pdf)
(출처 : https://www.hifi-archiv.info/Denon/Denon%202980%20Prospekt/0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