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ATABASE > ADCOM GFT-1/GF-2 디지털 튜너

ADCOM GFT-1/GF-2 디지털 튜너

글쓴이 : SOONDORI

어떤 브랜드, 어떤 모델이든, FM ONLY 조건이 붙은 튜너에는 한 가지 이상의 특별한 게 들어있다. 미제 GTF-2에는 무엇이?

AM/FM, Dual Gate FET, FM 3련, NEC uPC1167 IF IC + 복동조 직교검파, NEC uPC1235 MPX IC, 50dB Q.S. 38.5dBf, 30~15Khz±dB, S/N 70dB, THD 0.18%, SEP. 50dB, 1983년.

(출처 : holthill.com/products/adcom-gft-2-am-fm-stereo-tuner?srsltid=AfmBOorFzgXTloFJjmrf_-dsVc08EsDUrIxJ_D4ZuPjg7Wi9sHz5lZF2)

미국 스타일의 튼튼한 투박함이 도두라지는 것을 빼고는 특별한 게 없음. 그냥… 둔갑술을 쓴 평범한 일제 튜너로 정의하기.

(출처 : https://www.soriaudio.com/index.php?mid=s_entrust&document_srl=911448)

나중에 만들어진, 나름 열심히 만들었다고 생각하는 GFT-555 II 튜너와 수준이 다른 이유가 무엇일까? WHY?

* 관련 글 : ADCOM GFT-555 II 튜너

제 짝은 GFA-2 파워앰프.

원작 모델로, 1979년형 GFT-1 튜너와 제 짝 GFP-1 프리앰프 그리고 GFA-1 모노블록 파워앰프가 있다.

1) 1981년형 GFT-1은 FM 4련. 그것 하나만으로도 더 좋은 모델.

(출처 : https://www.ebay.com/itm/388918422867)

(▲ FM 5련 모듈 + (상당히 희미해서 확인할 수 없지만) HA12412 IF IC + HA12016 MPX IC 조합인 듯. 출처 : https://www.ebay.com/itm/146336970328)

2) GFP-1 프리앰프

3) GFA-1 파워앰프.

반쪽짜리 함체의 내부 발열을 감당할 수 없어서, 커다란 선풍기를 집어넣었다. 확실히 미국식 지에무시 스타일인데… 200W@8오움, 400W@4오움을 고수하려고, 물리적 한계 속에서 그렇게 멋 부리는 게 맞는 것일까?

200W@8오움, Gain 31.5dB, 20~20Khz±0.25dB, S/N 90dB, D.F. 60.

(출처 : https://www.ehva.com.au/c/antiques-art-memorabilia/hifi/adcom-gfa-1-a-power-amplifier-1606847)


(표제부 사진 포함 출처 : https://reverb.com/item/10078953-adcom-gft-2-rackmountable-fm-am-tuner-excellent-sound-reception-free-shipping)

 

3 thoughts on “ADCOM GFT-1/GF-2 디지털 튜너

  1. GFT-1A 파워앰프, 회로도 한참을 쳐다 보았습니다.

    모노? 스테레오? .. 자세히 보니 브릿지..
    케이스는 작은데 RCA입력 2개, 스피커단자 2세트, 그러니까 앰프는 4개, 집적도가 높을 듯 합니다.

    1. 개념상 Duct 냉각을 의도한 것 같은데… 아무래고 고열에 시달리면, 빨리 고장이 나겠지요? 덕트 냉각을 해도… 방열판은 바깥으로 빼는 게 맞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예를 들어서,

      https://audiopub.co.kr/2024/06/20/%eb%84%ac%ec%8a%a8-%ed%8c%a8%ec%8a%a4%ec%9d%98-aleph-0-%eb%aa%a8%eb%85%b8%eb%b8%94%eb%a1%9d-%ed%8c%8c%ec%9b%8c%ec%95%b0%ed%94%84/

      이 경우는, 정반대 컨셉의… 반대편으로 쭉~ 달려나간 경우가 아닐까 싶네요. 애드콤 앰프 설계에서, 위 앰프는 E***이라는 어떤 분이 하셨고, 그 다음 주자가 넬슨패스 옹이라는 게 재미있습니다.

      1. 이런 큐브 컨셉 앰프들이 꽤 있었네요.

        혹, Carver 미니큐브 M-400A 앰프도 아시나요?
        출력 파워별 3단으로 출력관을 쌓아서, 물론 출력에 맞게 전원도 3개입니다. 저출력일 때는 TR2개 푸슈풀만 가동, 1단 파워를 초과하면 2단 파워를 스위칭해서 1단, 2단 가동 3단계 도달시 모두 가동한다는, 손바닥에 올라가는 그런 앰프입니다.

        스위칭할 때 신호의 크로스토크 디스토션이 클 듯한데요.
        이런 복잡한 앰프를 설계 제작하는 것이 이해하기 힘 듭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