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 SOONDORI
이어가는 글.
* 관련 글 : 인켈 AX-7R 인티앰프의 오류 (3), Power-On Reset
모두를 재조립하면, 마이크로컨트롤러의 반응이 달라질까? NO! 여전히 비정상. 그대신에… 1) 무조건 통전 상태로 간다. 2) 파워버튼을 눌러도 꺼지지 않는다. 3) 기기 후면 RESET 버튼을 누르면 꺼진다. 4) 그러고 나서 파워버튼을 누르면 켜진다. 제대로 스텝 처리를 한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강제 RESET 직후) 버튼 누름에 반응하였으므로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정상. POWER OFF가 안 되는 것은 제3의 변수 불충족 상태이기 때문이다. 자, #57핀을 무조건 HIGH로 만드는 원인은… 뭘까?
끊어가는 작업에 항상 가물가물이라서… 내친김에 MCU 핀 전압, 기타 주요 전압을 기록해두기.

물끄러미…
마이크로컨틀로러 세상의 축약어 IRQ는, 흔히 인터럽트 요청(Interrupt Request)이다. IRQ 핀은, 전워보드 내 상시 통전 되는 영역에 연결되어 있다. (전원보드 출력 기준 11V) 그 구조를 보면, “사용자가 AC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았다”를 감지하는 용도라고 생각하였는데…
확인을 위해 IRQ 라인을 잠시 무용의 상태로 만들어 놓으면, 자동 POWER ON 되지 않음. 파워버튼에 대한 반응도 없음.
확실히 IRQ 라인이 이상하다. 게다가 1.5mA를 소모하고 있다니… MCU 입력 핀의 전류흐름으로는 대단히 큰 값.
(시간 흐른 후)
“오잉? 시방… 너희들은 뭐하냐?”

DIGI-LINK 핀. HIGH/LOW 반복의 어떤 펄스 정보가 넘어오는 MCU 입력 포트이다. LOW 디폴트. 그러므로 PASS.
다시 IRQ 핀 상태를 의심의 눈초리로 째려보기.

그러고 보니… 5.1V 제너다이오드가 그곳에 있음에도, 핀 전압이 4.*V로 꽤 낮았던 게 기억났다. 확실히, IRQ 핀의 상태와 그것에 엮이는 MCU의 반응에 문제가 있는 것.
그에 더하여, 전원부 전압 강하가 이상하게 과하다. 어디로 전기에너지가 줄줄 빠져나가고 있음.

(시간 흐른 후)
인켈이 <POWER DN>으로 정의한 라인에서, IC #44핀에 연결되는 라인에서, 그리고 그곳에 있는 5.1 제너다이오드가 제대로 활약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인켈이 IRQ로 적어 놓은 <AC 통전 여부 감지핀> 파형은 다음과 같다.

뭔가 좀… 그래서 전원보드 출력 파형을 확인해 보기.

맥류가 관찰되고, 그것 때문에 DC 모드 전압이 이상하게 나오는 것인데… 그 외 뭐가 문제라는 말인지?
(시간 흐른 후)
후면 리셋 버튼에서 꺼지고 전면 버튼 누르면 켜지고, 그다음에 묵묵부답인 현상을 가지고 곰곰히 생각해 보니,
AC 플러그 삽입 → 최초는 무조건 ON → 어떤 운용 변수가 충족된 후에는 OFF 가능한 로직인 듯. ‘어떤 변수 충족’이라고 함은, 예를 들어, 셀렉터 영점 또는 과거 위치를 기억하는지 여부이다. POST 단계에서 그것이 제대로 인식되지 않았다면, 이후의 모든 프로시져가 그대로 대기 중일 것이라는 가설. 그중에 한 기능인 릴레이 OFF 기능도 하염없이…

아~ 정말 바보같이… 예전에 다음과 같은 글을 썼고, 최근 C1815 님도 넌지시 암시를 적어주셨는데, 갸우뚱하며 단서를 놓친 것?
audiopub.co.kr/user-talks/?pageid=8&uid=349&mod=document
이제 셀렉터 DISC와 위치 그리고 모터 구동을 째려보기로 한다. 모터 자체 또는 구동 회로에 문제가 있어서 Zeroing을 못 하는 상태일 수 있고, DISC 위치 센싱에 실패하여 등 돌린 것일 수도 있고?
(시간 흐른 후)
예전에 쓴 글을 다시 열람하고…

써미스터의 물리적 상태가 궁금하여 분리하였다. 약 105오움. 예전의 값과 다르지만, 그때그때 온도 차가 있을 것이므로… 기기 반응을 살펴보면, AC 통전 → 전원 OFF 상태 → 전원 버튼을 누르면 ON → 다시 전원 버튼을 누르면 OFF → 그러나 One Cycle로 끝.
아하! 이쪽에 문제가 숨어 있다! 써미스터 제거 상태의 CNT 102 핀 전압 변화는, 0V → 12V/9V → 0V. 오잉~?DC 18V 레귤레이터가 있는데 그 모양이라고?


상태는,
1) 써미스터 분리 : 18.39V → 잠시 후 자동 꺼짐
2) 써미스터 삽입 : 18.39V → 상태 유지. 버튼 Power OFF는 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 라인을 쭉~ 따라가 보면, +18V 레귤레이터 IC에 연결됨. LM 시리즈의 출력 통제 정교도를 기준으로, +0.39V 차이는 큰 것 → 레귤레이터가 문제인가 보다? NO! 그러나 노파심에, 분리하고 테스트 → 정상.

(시간 흐른 후)
써미스터는 정상일까? 가열 테스트를 해 보았고… 가변하니까, 정상 간주.

(시간 흐른 후)
끊어서 하는 작업이라 늘 가물가물이다. 찬찬히 회로를 살펴보고…

써비스터를 가변 트리머 저항으로 바꾸고 100오움 고정한 상태로,
1) 대체형 저항 삽입 → AC 전원 ON → 무조건 통전 → 꺼지지 않음.
2) 대체형 저항 제거 → AC 전원 ON → 대기 상태 유지 → 파워 버튼 누름 → 통전. 그러나 몇 초 후 자동 OFF → 이후 무반응. 이 부분은 다음 코멘트의 작용 때문인 것으로 간주함.
“… sc1815 says:2025-10-25 at 8:54 셀렉터 엔코더 부분이 접속 불량이면 에러로(무한회전) 설랙터 모터가 회전하지만 정렬(리셋)? 안되면 그냥 꺼집니다…”
자… 써미스터가 없으면, 대충 작동한다고?
(시간 흐른 후)
각각의 Step 처리에 대하여, a) R222의 트랜지스터 쪽 전압 변화와, b) D116 애노드 쪽 전압 변화를 관찰해 보았다. 아무래도 이쪽에 문제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가) D116 : 1)에서, 방전 상태 0V → 3.6V, 2)에서, 방전 상태 0V → AC ON 시 3.6V → 파워버튼에 의한 통전 직후 1.2V.
나) R222 : 1)에서 25V이고,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데… 써미스터를 뽑는 순간 0V. 그러면서 기기가 꺼진다.
이 조건이면, 8.2V 제너다이오드가 사용되고 있음에도 꽤 낮은 전압이 걸린다는 뜻. 뭘까? 이 상황은?
(시간 흐른 후)
회로도를 조각내고, 더 살펴보기.

(▲ 회로도의 스피커 출력 라인 하나가 Missing된 상태 | a) DC Offset 이상 감지용 Q129A의 V_be 충족되면 통합 감지 라인은 LOW. 그때 GND 연결은 스피커를 통해서. 즉, 스피커 연결이 없다면, 이 회로는 작동하지 않음, b) 과열감지용 Q125의 V_be 충족되면, LOW, c) Peak 감지용 Q123 V_be 충족되면 그것도 LOW. 마이크로컨트롤러 입장에서, 사유 불문하고 #51핀 LOW이면, 사태가 심각하다고 판단하는 로직이다)
a) 대기 상태 DC Offset에 문제가 있으면, 2) (트랜스포머 함체 온도로 간접 관측하는 조건) 과열이 되면, 3) L과 R 채널 어느 것 하나에서, 과한 출력 Peak가 감지되면… 세 가지 중 하나라도 걸리면, MCU #51핀을 트리거 한다. 직후 MCU 프로그램이 셧-다운 모드로 진입을 지시함.
1)항과 3)항은 일단 Pass하고, 2)항 동작에 문제가 있어서 이상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 그렇게 판단하고…
1) 대체형 저항 삽입 : AC 통전 동작에 있어서, #51 Protection Input=LOW → HIGH → LOW.

2) 대체형 저항 제거 : 정상적인 스탠바이 모드로 보면… LOW에서, 전원 버튼을 누른 직후 HIGH로. 이후 셀렉터 부재로 자동 OFF.
그러니까, Q125 주변의 과열감지 회로에 문제가 있는 모양이다.
써미스터/대체저항의 제거 행위는, 해당 회로를 무용의 상태로 만드는 그러니까, 프로텍션 동작에 관여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과 같다는 생각.
요즘 같으면, 온갖 예외사항 처리 루틴을 집어 넣고, 어떻게든 동작하도록 만들었을 것인데… 4비트 시절의 빡빡한 프로그래밍 공간에, 어셈블러를 썼다고 한들, 뭘 구현한다는 것은 많은 한계가 있었을 것. 그리하여 단순 동작하다가 조금이라도 조건 안 맞으면, 즉시 눈만 꿈뻑거리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려니 한다.
이제, 오류 영역을 특정한 것으로 하고… 다음 글에서 계속.
* 관련 글 : 인켈 AX-7R 인티앰프의 오류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