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과 답변(Q&A)」을 포함하는 다양한 주제의 글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욕설 및 비방을 포함하는 글, 네티즌의 상식과 예의에서 벗어나는 글은 사전 통지 없이 삭제됩니다.
다이나믹 마이크 험 노이즈 차단 방법 문의입니다.
Author
yoonminsoo
Date
2024-11-25 13:07
Views
220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마이크를 오디오인터페이스에 꽂아 PC로 작업합니다. 그런데 마이크에 아주 낮은 강도로 교류 전류 노이즈가 깔리네요. 몇 가지 실험을 해 보았습니다.
(1) PC에 연결된 전원 문제는 아닙니다. 왜냐하면 오인페를 PC와 분리하고 배터리로 오인페를 동작해도 노이즈가 낍니다.
(2) 오인페 문제도 아닙니다. 오인페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도 똑같습니다.
(3) 마이크 문제도 아닙니다. 마이크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도 똑같은 결과입니다.
(4) 케이블 문제도 아닙니다. 왜냐하면 콘덴서 마이크를 꽂으면 전혀 노이즈가 없습니다. 오직 다이나믹 마이크만 그렇습니다.
그런데 다이나믹 마이크(슈어 PGA48, SM58, 오디오 트렉)를 회전시켜 특정 각도가 되면 노이즈가 전혀 안 낍니다. 이 각도는 180도마다 그렇습니다. 10도에서 노이즈가 없으면 190도에서 노이즈가 없고 그 외에는 노이즈가 있습니다. 마이크를 3차원으로 회전시켰을 때 노이즈가 없는 각도는 딱 두 경우뿐입니다.
이렇게 보면 전원이나 기계나 케이블 문제는 아니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현재까지의 제 추측은 다이나믹 마이크의 캡슐 무빙 코일이 주위의 교류 전류 전기를 유도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그 전계를 차폐해야 하는데, 금속컵으로 마이크 그릴 부근을 덮고 전선으로 컵 금속부와 마이크 접지를 연결해도 전혀 효과가 없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질문 요약: 다이나믹 마이크에 부유 전기(AC 전기)로 인한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마이크를 오디오인터페이스에 꽂아 PC로 작업합니다. 그런데 마이크에 아주 낮은 강도로 교류 전류 노이즈가 깔리네요. 몇 가지 실험을 해 보았습니다.
(1) PC에 연결된 전원 문제는 아닙니다. 왜냐하면 오인페를 PC와 분리하고 배터리로 오인페를 동작해도 노이즈가 낍니다.
(2) 오인페 문제도 아닙니다. 오인페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도 똑같습니다.
(3) 마이크 문제도 아닙니다. 마이크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도 똑같은 결과입니다.
(4) 케이블 문제도 아닙니다. 왜냐하면 콘덴서 마이크를 꽂으면 전혀 노이즈가 없습니다. 오직 다이나믹 마이크만 그렇습니다.
그런데 다이나믹 마이크(슈어 PGA48, SM58, 오디오 트렉)를 회전시켜 특정 각도가 되면 노이즈가 전혀 안 낍니다. 이 각도는 180도마다 그렇습니다. 10도에서 노이즈가 없으면 190도에서 노이즈가 없고 그 외에는 노이즈가 있습니다. 마이크를 3차원으로 회전시켰을 때 노이즈가 없는 각도는 딱 두 경우뿐입니다.
이렇게 보면 전원이나 기계나 케이블 문제는 아니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현재까지의 제 추측은 다이나믹 마이크의 캡슐 무빙 코일이 주위의 교류 전류 전기를 유도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그 전계를 차폐해야 하는데, 금속컵으로 마이크 그릴 부근을 덮고 전선으로 컵 금속부와 마이크 접지를 연결해도 전혀 효과가 없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질문 요약: 다이나믹 마이크에 부유 전기(AC 전기)로 인한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Total 513
Number | Title | Author | Date | Votes | Views |
Notice |
오디오퍼브 콘텐츠 검색방법 안내 (1)
audioPUB
|
2020.05.09
|
Votes 0
|
Views 19244
|
audioPUB | 2020.05.09 | 0 | 19244 |
350 |
글로벌 인터넷 자원의 탐식
SOONDORI
|
2025.01.08
|
Votes 0
|
Views 106
|
SOONDORI | 2025.01.08 | 0 | 106 |
349 |
ORPHEO 스피커 (6)
김성일
|
2025.01.02
|
Votes 0
|
Views 278
|
김성일 | 2025.01.02 | 0 | 278 |
348 |
2025년 모두 건강하시길 (1)
짱돌
|
2025.01.01
|
Votes 0
|
Views 98
|
짱돌 | 2025.01.01 | 0 | 98 |
347 |
AIWA HS-JL30 스피커 소리안남 (2)
김성일
|
2024.12.22
|
Votes 0
|
Views 162
|
김성일 | 2024.12.22 | 0 | 162 |
346 |
자다가 봉창 두드리는 일
SOONDORI
|
2024.12.04
|
Votes 0
|
Views 230
|
SOONDORI | 2024.12.04 | 0 | 230 |
345 |
다이나믹 마이크 험 노이즈 차단 방법 문의입니다. (7)
yoonminsoo
|
2024.11.25
|
Votes 0
|
Views 220
|
yoonminsoo | 2024.11.25 | 0 | 220 |
344 |
리시버(RONDO JR-840)에 스피커 연결하는 법 여쭤봅니다 (6)
intoyna7
|
2024.11.08
|
Votes 0
|
Views 294
|
intoyna7 | 2024.11.08 | 0 | 294 |
343 |
제습기 수리관련해서 여쭙니다
와산교
|
2024.09.02
|
Votes 0
|
Views 526
|
와산교 | 2024.09.02 | 0 | 526 |
부품 식별에 대하여
SOONDORI
|
2024.09.02
|
Votes 0
|
Views 502
|
SOONDORI | 2024.09.02 | 0 | 502 | |
Re:부품 식별에 대하여
와산교
|
2024.09.02
|
Votes 0
|
Views 392
|
와산교 | 2024.09.02 | 0 | 392 | |
보드 레이아웃 파악 그리고 Step-Up 탐색
SOONDORI
|
2024.09.02
|
Votes 0
|
Views 420
|
SOONDORI | 2024.09.02 | 0 | 420 | |
Re:보드 레이아웃 파악 그리고 Step-Up 탐색 (1)
와산교
|
2024.09.02
|
Votes 0
|
Views 437
|
와산교 | 2024.09.02 | 0 | 437 | |
Re:Re:보드 레이아웃 파악 그리고 Step-Up 탐색 (2)
와산교
|
2024.09.03
|
Votes 0
|
Views 358
|
와산교 | 2024.09.03 | 0 | 358 | |
Re:Re:Re:보드 레이아웃 파악 그리고 Step-Up 탐색 (7)
와산교
|
2024.09.03
|
Votes 0
|
Views 415
|
와산교 | 2024.09.03 | 0 | 415 | |
342 |
'다윗의 별'이 왜 기아자동차 버스에? (2)
SOONDORI
|
2024.08.28
|
Votes 0
|
Views 519
|
SOONDORI | 2024.08.28 | 0 | 519 |
341 |
초미풍 선풍기 원리?
김정근
|
2024.08.23
|
Votes 0
|
Views 467
|
김정근 | 2024.08.23 | 0 | 467 |
트라이액 회로 (1)
SOONDORI
|
2024.08.23
|
Votes 0
|
Views 728
|
SOONDORI | 2024.08.23 | 0 | 728 | |
트라이액의 제어 그리고 팽이치기
SOONDORI
|
2024.08.27
|
Votes 0
|
Views 518
|
SOONDORI | 2024.08.27 | 0 | 518 | |
340 |
태광 아너 AR-50 브리지 다이오드 오삽으로 퓨즈 단락 (3)
Tinkerblond
|
2024.08.20
|
Votes 0
|
Views 635
|
Tinkerblond | 2024.08.20 | 0 | 635 |
339 |
아기바람 선풍기 질문 ㅠㅠ (6)
김정근
|
2024.08.19
|
Votes 0
|
Views 591
|
김정근 | 2024.08.19 | 0 | 591 |
아기바람 선풍기용 DIY 회로 검토
SOONDORI
|
2024.08.19
|
Votes 0
|
Views 743
|
SOONDORI | 2024.08.19 | 0 | 743 | |
338 |
단상 단권형 avr 노이즈 필터 장착 가능 여부
kunkyun
|
2024.07.27
|
Votes 0
|
Views 568
|
kunkyun | 2024.07.27 | 0 | 568 |
각기 다른 개념의 조합 (3)
SOONDORI
|
2024.07.27
|
Votes 0
|
Views 621
|
SOONDORI | 2024.07.27 | 0 | 621 | |
337 |
마끼다 충전드릴 BDF343 (3)
김정근
|
2024.07.15
|
Votes 0
|
Views 719
|
김정근 | 2024.07.15 | 0 | 719 |
336 |
한일 아기바람 DC선풍기 오동작 결말 (4)
김정근
|
2024.07.13
|
Votes 0
|
Views 1060
|
김정근 | 2024.07.13 | 0 | 1060 |
335 |
남의 글을 도둑질하는 자, ******? (2)
audioPUB
|
2024.06.29
|
Votes 0
|
Views 1624
|
audioPUB | 2024.06.29 | 0 | 1624 |
334 |
marantz pm-75 볼륨수리
이혁강
|
2024.06.22
|
Votes 0
|
Views 1288
|
이혁강 | 2024.06.22 | 0 | 1288 |
앰프 밸런스 편차 보정 방법 (4)
SOONDORI
|
2024.06.22
|
Votes 0
|
Views 1618
|
SOONDORI | 2024.06.22 | 0 | 1618 | |
333 |
이용자 등록 기능 안내
audioPUB
|
2024.05.27
|
Votes 0
|
Views 1838
|
audioPUB | 2024.05.27 | 0 | 1838 |
332 |
회원 로그-인 기능에 대하여
audioPUB
|
2024.05.13
|
Votes 0
|
Views 1646
|
audioPUB | 2024.05.13 | 0 | 1646 |
331 |
[이*원 님] 516 회로집 코멘트에 대하여 (3)
SOONDORI
|
2024.04.12
|
Votes 0
|
Views 2084
|
SOONDORI | 2024.04.12 | 0 | 2084 |
안녕하세요?
'교류 전류 노이즈'라고 하심은... 60hz, 120hz 상당의 웅~하는 소리이겠지요?
대뜸, 그라운드 루프가 생각납니다. 그런데, 혹시...
흔히 인지하기 어려운 주변 노이즈는 없을까요? 예를 들어, 천천히 돌아가는 Fan의 물리적 노이즈를 집음하고 있거나, 천정의 어떤 램프가 무엇을, 혹은 작업 공간 내 어떤 장치의 물리적 운동이 무엇을...
"...회전시켜 특정 각도가 되면 노이즈가 전혀 안 낍니다..."라고 하셨기에, 공간 안에 뭔가 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너무 사소해서 무심코 놓치는...
한번 확인해 보시면요?
예를 들어, 포터블 레코더로 집음하고 파일을 가져와 PC 프로그램으로 레벨을 크게 확대하거나... 그런 다음에 Ground Loop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게 어떨까 합니다.
제가 포터블로(오디오인터페이스를 배터리로 동작. 모니터링 헤드폰 착용하고) 마이크를 가지고 다니며 잡음을 들어보았습니다. 어떤 곳은 잡음이 거의 없고, 어떤 곳은 잡음이 있는데, 적어도 제 사무실에서는 광범위하게 잡음이 납니다. 그러나 사무실 내에서 전계를 발생시키는 특정한 기구나 기계를 발견하지는 못하였습니다. 아마도 사무실 외부에 전계를 발생시키는 무엇이 있지 않을까 추정할 뿐입니다.
제 질문은 혹시 이럴 경우 그 전계를 차폐하여 영향을 무력화할 방법이 있을까 하는 것입니다.
(참고: 그라운드 루프는 저도 경험해 보고 해결도 해 보았는데, 이번 경우는 간단한 포터블 장치로 실험한 것이므로 그라운드 루프와는 상관이 없을 것입니다.)
1) 앞서, "이 각도는 180도마다 그렇습니다."라고 하셨고,
2) 포터블 장치로 주변을 검사하였더니...
네... 마이크의 코일 즉, 증폭 회로에 연결된 구리선 덩어리에 영향을 주는 전자기 파동이 있다고 판단하신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런 것 같네요. 그게... 1)항의 '180도'는 Sine파의 주기와도 맞물리고요.
몇 m를 넘나드는 강력한 전기장과 자기장이라면... 일반적으로 그런 영향이 있을 곳은... 사무실 밑, 옆, 위쪽으로 22.9KV 이상의 전력선이 지나가는 듯합니다? 예를 들어 그런 상황이 맞다면...
차폐는, 쉽게 구할 수 있는 얇은 동박 PCB나 동박 테이프 등으로 마이크의 집음 면을 제외한 나머지를 다 감싸면, 그나마 효과가 있을 듯합니다. 기왕이면, 동박면을 오디오 시스템의 접지에 연결하고요. 무슨 전자파 차폐 특수 필름 어쩌고 저쩌고 그런 것은 이번 사례에 안 맞을 것 같아요.
아무려나 현재의 환경이 몸에 매우 안 좋은 것인데 걱정입니다.
---
참고로, 만일에 의심가는 곳을 특정할 수 있고 & 아주 저렴하게 전자기적 파동의 존재 여부만 확인하시겠다면,
전원, GND, 출력... 리드선 3개짜리 텍사스인스트루먼트 DRV-5056 IC를 구하고, 9V 건전지와 IC 동작 조건을 맞추기 위한 LM7805를 적당히 조립하고, 아날로그 미터 등 여하한 표시 장치를 더하여, 간단한 Meter를 만들어 쓸 수도 있습니다. (DRV-5056s는 다른 홀 센서보다 감도가 높은 편입니다)
* DRV5056 Unipolar Ratiometric Linear Hall Effect Sensor
https://www.ti.com/lit/ds/symlink/drv5056.pdf?ts=1732614474446&ref_url=https%253A%252F%252Fwww.google.com%252F
원인을 찾았습니다. 거리가 한 20m정도 떨어진 전신주 변압기입니다.
다이나믹 마이크가 그 쪽을 정확히 향하거나 180도일 때 잡음이 사라지네요.
실사용에는 큰 문제 없습니다.
볼륨을 적당히 맞추면 잡음은 거의 안 들립니다.
또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제거할 수 있고요.
그런데 재미 삼아, 그리고 나중을 위하여 차폐 방법을 찾아내야 할 것 같습니다.
위의 말씀 감사하고요, 참고하여 실험을 해서 좋은 결과 나오면 공유하겠습니다.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곳, 일하거나 살고 있는 공간에... 실제로 22.9KV 주상 변압기가 매달려 있군요. 허... 그 지역이 전기를 많이 소모하는 건물, 사업체가 있는 곳인가 봅니다. 아무튼, 문제의 원인을 발견하셨다니 좋은 일이네요.
잡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여러 실험을 해 보았습니다. 마이크 외부에 차폐를 하는 것은 보기에도 좋지 않고 해서 다른 방법을 찾아보았습니다.
동일한 두 마이크를 평행하게 놓고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연결하여 DAW 소프트웨어에서 하나는 정위상, 하나는 역위상으로 하여 합하였습니다. 그랬더니 잡음이 거의 사라졌습니다. 각각 들으면 노이즈가 있지만 따로따로 들으면 상쇄됩니다. XLR 케이블 노이즈 상쇄와 같은 개념입니다.
그렇다면 마이크 내부에 무빙 코일과 동일한 코일을 평행으로 두되 이 코일에는 자석은 없게 하고, 두 코일을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하여 상쇄시키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럼 자석이 있는 코일에 들어오는 음성 신호만 남을 것 같습니다. 이것은 아직 실험을 하지 못하였습니다. 나중에 재료를 구할 수 있으면 실험해 보아야겠네요.
물론 이 노이즈는 매우 작아서 볼륨을 최대로 올려야 겨우 들리기 때문에 일상 사용은 큰 문제가 없기는 합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라도 노이즈를 완전히 제거하고 싶은 것입니다.
아하! 위상상쇄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군요. 생각도 못했습니다.
적어 주신 모든 내용은, 글을 읽는 다른 분에게 좋은 참조 사례가 될 것 같습니다.
아무려나 수십 미터 떨어진 변압기의 전자기장이 마이크에 영향을 주다니... 참 신기한 일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