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EXPLORE > Kenwood KT-8005 아날로그 튜너와 더블 스위칭

Kenwood KT-8005 아날로그 튜너와 더블 스위칭

글쓴이 : SOONDORI

디자인은, 1972년의 감성으로는 최선이었을 것 같다. 그 시절의 트리오가 나름 심혈을 기울인 모델.

AM/FM, FM 5련, 비율검파, 50~15Khz±0.5dB, S/N 75dB, THD 0.3%, SEP. 40dB, 435mm × 153 × 300, 11.3Kg, 1972년.

(출처 : https://reverb.com/en-cz/item/40766738-vintage-kenwood-kt-8005-tuner)

(출처 : https://depanne-audio.blogspot.com/2012/08/tuner-kenwood-kt-8005-tuner-venu-en.html)

계열 모델 KT-6005/KT-4005도 같은 시점에 소개됨. KT-9005는 2년 후에. 그리고 기타.

그렇고… 그들이 자랑했던 Double Switching Demodulator는 무엇?

인터넷 정보라고는 오로지 회로도 한 장뿐이다. 그나마 유명한 Audio Database 사이트에 몇 줄 적혀 있기를,

“… 멀치 섹션은 이중 스위칭 및 복조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이 방식에서는 주 스위칭 회로와 보조 스위칭 회로의 출력을 대칭 및 역위상으로 만들고, 양 스위칭 회로의 출력을 합산하여 누설 신호를 제거합니다. (Multi-section uses double switching and de-modulator system. In this method, the leakage signal is canceled by making the outputs of the main and auxiliary switching circuits symmetrical and out-of-phase, and adding the output of the quantity switching circuit)…”

회로도를 조각내서 살펴보면,

a) IF 중간에서 IF 신호를 뽑아내고 b) 그것을 반파정류한 어떤 신호와 합친 다음, c) 이렇게 저렇게 가공하되, 에러 교정 신호로 사용, d) MPX 영역의 스위칭 잣대인 38Khz의 위상을 정확하게 만들겠다는 취지.

링 다이오드 매트릭스 두 개가 존재하고 각각은 역상으로 처리된다고 하니… 단어 Double을 쓴 것 자체는 쉽게 이해가 된다.

튜너 안에 들어와 있는 방송국 표 파일럿톤의 상태에 대해서, 그것을 믿는다와 못 믿는다의 대립처럼 보이는데… 즉흥적으로 분류해 보자면,

1) 방송국 제어신호 수용형

– 흔히 보는 일반 튜너의 태도. 제어신호가 꽤 훌륭하고 절대적인 잣대라고 생각하기.
– KT-600T처럼, 흔들리는 19Khz를 배척하지않고 어떻게든 잘 어루만지려는 튜너. FDM 준수. 소개 시점이 1972년이니까, 개발은 그전에 이루어졌을 것이라는 점의 유의.

2) 방송국 제어신호 단절형

PLL MPX 펄스 + 단순 스위칭 조합을 채택한 튜너. TDM 강행 처리. 여기서 ‘단절’은, 방송국 표 19Khz를 완전히 무시한다는 게 아니라 파일럿톤을 매개체로 하는 방송국 대 튜너의 시스템적 연동은 그대로 하되, 아날로그 연산에 관한 한 상태가 명확한 로컬 생성 펄스를 쓰겠다는 취지이다.

KT-600T 소개 시점으로부터 약 10년 후인 1980년대 초반에, 여러 일본 제작사가 앞다투어 단절형 모델을 소개하였다는 사실을 기록해 두고, 그렇게 보면 약간 앞서 나간 제품이다. 최첨단?

그렇고… KT-8005 계열 실물은, 디자인이 꽤 단단하고 단아한 맛이 있더라. 종종, 좋은 소리가 취향 저격 디자인에서 나오기도 하니까… So What?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