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TECH. & DIY > 성우전자 리시버의 회로도

성우전자 리시버의 회로도

글쓴이 : SOONDORI

기기 하판에 붙은, 보기 좋은 회로도가 입수되었으므로…

* 관련 글 : 성우전자 SW-8000A 카세트 리시버

■ 프론트엔드

AM과 같은 레벨의 FM 2련도 감지덕지.

■ IF 및 검파

아주 간단한 비율검파 사용. 복합 신호라인으로, AM 신호도 흘러간다.

■ 스테레오 분리

SCA 서브 케리어 주변의 신호 제거 → CR 발진으로 19Khz 생성 → 38Khz 더블 → 검파 후 신호와 38Khz 섞어주기 → 다이오드 링 → LPF 등 후단 회로를 경유하여 L과 R이 출력됨. 출력? 물론 앰프 초입으로.

다이오드 링 다음의 회로를 시뮬레이션 해 보면, 부품 입수 때문인지… 디엠퍼시스고 LPF고 뭐고, “대충 들으셔!”가 된다. 아마 번들 스피커가 별 차이를 못 느끼게 만들었을 듯.

■ Phono 및 카세트 회로

겸사겸사… 소리만 잘 나오면 된다.

■ 전원부 그리고 파워앰프

이전 시절에 널리 쓰이던 트랜스포머 제거 OTL 회로. 채널 당 10W는 어렵겠다. 5W 정도? 거의 훗날의 포터블 카세트 분위기.

이쯤에서 드는 생각은,

1) 정보가 매우 결핍되었던 시절에 활동하시던, 어떤 분의 서비스 마인드에 의해서… 여차저차, 50여년 전에 발행된 국산 오디오의 회로도가 인터넷에 기록되었다. 좋은 일이다.

2) 때는 1970년대 중반경이다. 비슷한 시기의 일제 리시버 회로에 비해 수준이 많이 떨어진다는 생각. “아이쿠~! 소리 참 조아요. FM 라지오도 나오고… “원가 평가를 포함하여, 소비층 기대 수준에 맞추었기 때문이려니…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