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TECH. & DIY > 구 소련 위성국가의 Tesla Transiwatt 40B KIT 조립설명서

구 소련 위성국가의 Tesla Transiwatt 40B KIT 조립설명서

글쓴이 : SOONDORI

어떤 시절에 일반적이었던 트랜지스터 앰프 키트가 있으면 좋겠다. 글쓴이의 코멘트는,

“… TW 40 앰프 키트. 1974년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하이파이 클럽에서 HIFI-JUNIOR 공과대학 판에 출간되었습니다…”

아하! 사회주의? 구 소련 위성국가에서 제작된 키트 제품이라는 사실을 깜빡했다.

* URL : https://www.elektroakustika.cz/tw40.html

위성국가… 독립국가이되, 본진의 말을 고분고분 듣는 나라. 간신 극우에 둘러싸인 양아치 트럼프는, 전 세계가 미국의 위성국가라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조만간 총 맞을 것 같음.


충분한 파워 리저브와 낮은 왜곡을 갖춘 범용 하이파이급 스테레오 앰프로, 특히 아파트나 소규모 사교실에 적합합니다. 외관과 기술 컨셉은 Hifi-Junior 시리즈의 다른 제품들과 유사하며, 최적의 조합을 이룹니다. 조정 소자가 없는 안정적인 전자 회로는 18개의 트랜지스터와 4개의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최신 상보형 배선의 출력단은 과부하에 강합니다. 간단하고 명확한 디자인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직접 제작하고 실험해 볼 수 있습니다. 이 앰프는 a) 조립 설명서, b) 개별 부품, c) 1년 보증이 제공되는 완제품으로 순차적으로 제공됩니다.

실효 출력 20W@1Khz, 뮤직 출력 35W, 35~25Khz@20W, THD 0.3%@20W, 384mm × 341 × 120, 5.4Kg

시운전

점검 및 시운전을 위해 최소한 LF 발생기, 밀리볼트미터, 신호 측정용 오실로스코프가 적합하며, AC 및 DC 전압, 전류, 저항 측정을 위한 범용 미터(예: Metra DU 10)도 적합합니다. 증폭기의 모든 부품 기능은 다이어그램과 본문에 제공된 값에 따라 검증됩니다. 최대 10~15%의 허용 오차는 일반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지만, 더 큰 편차는 제거해야 합니다. 제작 설명서는 양산 시와 동일한 상태로 증폭기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사용된 부품과 조립이 지정된 설명서와 일치하거나, ​​부품이 범용 구매 부품인 경우 공급업체의 기술 조건을 준수하는 경우 최초 연결 시 작동합니다. 경험이나 계측기가 없는 사람은 설치 전에 각 부품을 개별적으로 점검하고, 특히 실제 제작 시 주의 깊고 세심하게 작업함으로써 시운전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배제할 수 있습니다. 모든 전기 부품이 예상되는 기본 특성(저항의 경우 도통성 또는 대략적인 옴 값, 커패시터의 경우 정전용량 또는 최소한 저전압 교류 전류의 전도도)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최소한 임시방편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트랜지스터와 다이오드는 전문점에서 측정할 수 있지만, 오옴계 또는 임시 대체품을 역전했을 때 개별 전극 사이의 직류 전도도가 실제로 변하는지 확인하는 간단한 검사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또한 전위차계, 스위치, 선택기 및 변압기를 미리 점검하여 모든 위치에서 또는 관련 단자와 슬라이더 사이에 도통성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사용하기 전에 연결 보드를 강한 빛으로 검사하여 연결이 끊어지지 않았는지 또는 상호 단락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사전에 발견된 부품의 결함은 매장에서 가장 쉽게 청구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히 발생할 수 있는 결함

완제품에서 원치 않는 RF 발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대부분 왜곡된 재생, 히싱, 휘파람 소리 또는 버블링으로 나타납니다. 원인은 거의 항상 중성선과 금속 프레임의 원치 않는 잘못된 연결 때문입니다. 올바르게 연결된 유일한 곳은 전원부의 전력 증폭기 연결 패턴 접지면과 트랜지스터 T305이며, 이 두 트랜지스터는 절연 패드 없이 방열판에 직접 나사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연결 번들과 프리앰프를 통해 여기에서 입력으로 연결되는 접지(중성선)는 금속 프레임의 어느 부분에도 닿아서는 안 됩니다(UF 전선의 차폐 피복에 주의하세요!). 또한 입력 소켓 G, R, U, M의 플랜지나 이러한 소켓에 연결된 플러그의 금속 피복에도 닿아서는 안 됩니다. 올바른 접지 외에도 RF 발진은 C103, C110, C116, C302, 특히 C6을 통해 방지할 수 있으며, 문제 발생 시 먼저 C6을 확인해야 합니다. 발진의 원인은 특히 T305 위치에서 더 높은 차단 주파수를 가진 규정되지 않은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높은 fr.을 가진 실리콘 PNP 전력 트랜지스터를 여기에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10~22Ω의 저항과 10~47nF의 정전용량을 가진 직렬 부셰로 소자 RC를 극 C306과 접지 사이에 연결해야 합니다. 복잡한 크로스오버를 가진 일부 라우드스피커 시스템을 사용할 때 RF 발진이 나타나는 경우, 10~22Ω의 저항과 5~10µl의 RF 초크(권선 저항 0.4Ω 미만!)를 가진 또 다른 병렬 소자 RL을 극 C306에서 라우드스피커까지의 전원에 연결하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부하가 걸린 출력에서 ​​강한 RF 발진이 발생하면 퓨즈 P301이 타거나 최종 또는 구동 트랜지스터가 파손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규정된 부품으로 적절하게 제조된 증폭기에서는 위험한 RF 진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건설 시에는 설명서에 따라 정확하게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C306의 + 단자 DC 전압이 E 지점의 공급 전압의 약 절반일 때 왜곡이 최소화된 최대 전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일부 부품의 값 허용 오차로 인해 발생하는 더 큰 편차를 보정하기 위해 약 0.2~0.5MΩ의 저항을 R309에 임시로 연결하고 +C306의 전압 변화를 관찰합니다. 변화가 원하는 방향이면 R309를 가장 가까운 작은 값으로 교체하고, 반대로 R309를 원하는 값으로 교체합니다.

증폭기 잡음 증가는 트랜지스터 1103이 규정된 잡음 지수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 가장 흔히 발생합니다. 대부분의 KC149 또는 509 유형의 테슬라 트랜지스터는 F 값이 매우 낮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다른 부품으로 교체하는 것입니다. 저항이 낮은 볼륨 제어 장치(설명 참조)를 사용하면 T103/203 잡음 지수에 대한 요구 사항이 크게 줄어듭니다.

증폭기의 윙윙거리는 소리가 커지는 것은 일반적으로 외부 오류로 인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공급 케이블의 접지된 차폐, 원치 않는 과도한 소음 등이 있습니다. 오류 위치를 찾는 가장 좋은 방법은 증폭기의 개별 리드나 부품을 점차적으로 분리하거나, 접지 도체에 대한 신호 경로를 점차적으로 단락시키는 것입니다.

준4중 음성 청취

TW 40 앰프는 손상 없이 증가된 출력 부하를 견딜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 채널의 출력 단자 사이에 스테레오 신호의 차동 구성 요소를 사용하는 Hafler/Gerzon 시스템의 준4중 음향 연결에 적합합니다(Music and Sound No. 12/1971, p. 451 참조). 좌측 후면(AZ)과 우측 후면(BZ) 라우드스피커 시스템은 여기서 직렬로 서로 반대 위상으로 연결됩니다. 가능하면 전면 시스템과 품질이 다르지 않아야 합니다. 그러나 둘 다 동일해야 하며 임피던스는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예: 80). 저항 R5가 없으면 후면 시스템은 채널 A와 B 사이의 신호 차이만 전송합니다. 여기서 신호 차이가 클수록 후면 재생음이 커지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모노 신호(또는 MONO 스위치 연결)를 사용하면 후면 시스템이 전혀 재생되지 않습니다. 저항 R5를 연결하면 전면 시스템에서 후면 시스템으로의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며, 이는 R5가 작을수록 커집니다. R5는 4 Q 이상이어야 하며, 최적값은 10~22 Q입니다. 후면 시스템의 볼륨은 연결 027과 028 대신 연결된 약 4~22 Q의 동일한 직렬 저항 RA와 RB를 통해 줄일 수 있습니다. 최소 4W의 부하에 대한 저항을 선택하십시오. R5, RA, RB의 최적 값과 후면 시스템의 볼륨 및 크로스토크를 지역 조건에 따라 실험적으로 결정하십시오. 평균적인 청취 위치가 후면 시스템과 전면 시스템에서 거의 같은 거리에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저항 RA와 RB 없이, 심지어 R5 없이도 할 수 있습니다. 준 4중음향 재생은 때때로 진정한 4중음향과 매우 유사합니다. 현명하게 사용하면 특히 대규모 음악 앙상블을 들을 때 공간감이 크게 향상됩니다.

G 입력 감도

영어: 팁 힘이 약 2p인 전 세계 대부분의 자기 카트리지에 해당하며, 1cm/s의 기록 속도에서 1kHz에서 1~1.2mV의 출력 신호를 갖습니다. 입력 G, R, U, M을 전환할 때 비슷한 볼륨을 얻기 위해 레귤레이터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팁 힘이 약 1p인 카트리지는 출력 신호가 0.6~0.7mV/cm/s에 불과한 반면, 진동이 덜 유연한 가장 저렴한 유형은 1.5~2mV/cm/s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카트리지의 경우 R104 값을 높여 G 입력의 감도(따라서 재생 볼륨)를 높일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저항 R104/204 대신 보드 아래에 납땜된 두 개의 IP 040 1k 저항 트리머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트리머는 카트리지 및 기타 신호 소스에 따라 최적으로 설정됩니다.

간과하지 마세요

TW 40 Junior 앰프 조립 설명서는 개별 생산을 위한 참고 자료로만 제공됩니다. 제품 작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고객 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조업체는 체코 관련 표준을 준수하고 ESČ 마크를 획득했으며 프라하 전기기술 시험소의 검사를 거친 양산형 앰프를 공급합니다. Hifi-Junior 시리즈의 다른 양산형 제품, 특히 반자동 SG 60 턴테이블, 2웨이 RS 22 또는 3웨이 RS 20 라우드 스피커 시스템은 액세서리로 적합합니다. 이러한 제품의 주요 구성품과 개별 생산용 조립 설명서도 점차 제공될 예정입니다.

권장되는 전체 빌드 절차

1. 프리앰프 보드 s1

가장 작은 부품부터 설치합니다. 도면에 따라 021번부터 026번까지의 연결부를 형성합니다. 너트 없이 전위차계를 완전히 끼웁니다. 납땜하는 동안 샤프트가 기판과 평행하고 평평하게 맞물리도록 전위차계를 잡습니다. 전위차계 R124/224의 탭을 두 개의 연결부 033/034에 연결합니다.

2. 스위치 보드 s2

연결부 측면에서 스위치 s5(S102/202)와 s6을 삽입합니다. 케이블 타이를 미리 x13 스트립으로 절연합니다. 회전 스위치 s4를 둥근 구멍에 삽입하여 가장 왼쪽 위치의 닫힌 접점을 나타내는 표시가 연결 패턴의 둥근 점을 향하도록 합니다. 부품을 보드에 최대한 밀착시키고 스페이서 v2를 사용하여 수직 및 평행인지 확인합니다. 측면에서 연결부까지 접점을 납땜합니다. 스위치 s4의 빈 부분의 네 접점을 두 개의 연결부 029/030을 사용하여 보드에 연결합니다. 보드의 절연 측면에서 저항 R110/210과 연결 번들 011의 여덟 개의 전선을 납땜합니다. 이 전선의 상호 꼬인 차폐를 연결부 036을 통해 보드에 납땜합니다.

3. S3 파워 앰프 보드

일반적인 방법으로 설치하지만, 대용량 커패시터 C1, C2와 히트싱크 v4에 배치된 구성 요소는 제외합니다.

4. 히트싱크 어셈블리 v4

너트 v6 두 개를 8mm 구멍에 리벳으로 고정합니다. 리벳 x9를 사용하여 입력 소켓 4개(s10)의 접점 2가 방열판 모서리를 향하도록 리벳을 박습니다. 리벳 x10을 사용하여 출력 소켓 s11을 와셔 x12 위에 조심스럽게 리벳으로 박습니다. 조립된 보드 83에 방열판을 놓고, 와셔 s12와 s13을 사용하여 트랜지스터 T303/403과 T304/404를 설치하고, 절연 와셔 없이 트랜지스터 T305/405를 설치합니다. E 및 B 리드를 9mm로 미리 짧게 합니다. 위에서 나사 x6을 끼우고 아래에서 너트 x7을 사용하여 단단히 조입니다. 너트 아래 표면에 미리 주석을 칠합니다. 가장자리에서 나사 x8 두 개와 너트 x5를 사용하여 방열판을 보드에 고정합니다. 027, 028, 031, 032, 020 연결부 또는 저항 R5와 번들 013의 리드를 소켓과 보드에 납땜합니다. 6cm 길이의 튜브 z16을 전원 코드 s14에 끼워 보호하고, 끝에서 240mm 떨어진 곳에 두고 쿨러에 삽입한 후, 나사 x8 두 개를 사용하여 클립 s9로 고정합니다. 나사 x8은 아직 조이지 않습니다. 5cm 길이의 튜브 z17을 코드 s14와 번들 013에 끼웁니다. 나사 x6을 사용하여 컬럼 v7과 출력 커패시터 C306/406을 쿨러에 연결하고 리드를 보드에 납땜합니다. 극성에 주의하세요!

5. 패널 조립

패널 v1을 소켓 s10에 접시머리 리벳 9개로 고정한 브래킷 v2에 놓고 나사 xl을 끼운 후 와셔 2개와 납땜 러그 3개를 끼웁니다. 그림 v3에 표시된 쪽이 위쪽을 향하도록 기둥 v3을 나사산에 나사로 고정합니다. 기둥을 살짝만 조입니다. 너트 s7을 와셔 없이 스위치 s5의 목에 나사산 끝까지 조입니다. 조립된 패널에 나사산을 밀어 넣고 앞쪽에서 바깥쪽 너트를 나사로 고정합니다.

v9를 목 끝과 같은 높이로 맞춥니다. 너트 s7을 사용하여 두 스위치를 평행하게 조입니다. 마찬가지로 보드 어셈블리 s2를 부착합니다. 스위치 너트 s4를 잠금 장치에 미리 조여 12개 위치 중 4개의 올바른 위치를 정의합니다. 번들 011과 010을 9cm 길이의 튜브 z17을 사용하여 컬럼 v3에 부착합니다. 조립된 프리앰프를 패널에 부착하고 전위차계 샤프트를 구멍을 통해 삽입합니다. 와이어 커넥터 021~026을 보드 s2의 해당 구멍에 삽입합니다. 보드 sl과 컬럼 v3 사이에 와셔 v8을 놓고 위에서 두 개의 나사 x4를 삽입한 후 컬럼에서 너트 x5로 조입니다. 보드 sl과 s2 사이에 약 2mm 너비의 평행 간격이 유지되어야 합니다. 관통 연결부 021~026의 끝을 보드 s2에 납땜하고 튀어나온 잔여물을 잘라냅니다. 오른쪽 납땜 고리 x3을 스위치 샤프트에, 왼쪽 납땜 고리는 샤프트 R127/227에 대각선으로 연결합니다. 그런 다음 나사 xl을 단단히 조입니다. 글로우 램프 N1을 패널에서 4mm 돌출되어 수직이 되도록 삽입합니다. 베이스의 돌출부를 스위치 스트랩에 납땜합니다. 저항 R1, R314, R414를 납땜합니다. 나사 x12를 사용하여 손잡이 s15를 샤프트와 패널에 조여 스톱의 선이 대칭을 이루도록 합니다. 스위치 샤프트의 손잡이 s16의 경우, R 위치의 선이 정확히 수직이어야 합니다.

6. 앰프 두 부분의 최종 조립 및 연결

코드 s14와 번들 013의 남은 끝을 번들 016과 컬럼 v3과 함께 5cm 길이의 튜브 z18에 삽입합니다.두 컬럼 v3을 모두 나사 x6으로 라디에이터 뒷면에 조입니다.스페이서 v5를 컬럼 v3과 라디에이터 vé 사이에 삽입하고, 위에서 나사 x4를 삽입한 후 라디에이터 아래에서 너트 x5로 조입니다.전원 코드 s14와 번들 016의 단자를 스위치 S1과 글로우 플러그 N1에, 번들 016의 다른 쪽 끝을 보드 s3 모서리의 구멍에, 번들 013의 단자를 스위치 S301/401과 소켓 S에 납땜합니다.사진에 따라 단자, 번들 및 조임 튜브를 정렬하고 조정합니다.그런 다음 코드 클램프 s9를 조심스럽게 조입니다. 차폐된 번들 010과 011의 단자를 납땜합니다. 약 10cm 길이의 와이어 z9를 사용하여 소켓 U와 M의 리드를 함께 당깁니다. 번들 012를 사용하여 보드 sl과 s3을 연결합니다. 번들 014와 015의 긴 끝을 주전원 변압기 s17의 단자에 납땜합니다. 두 개의 나사 x6을 사용하여 변압기를 포스트 t6 뒤의 방열판에 부착하고 단단히 조입니다. 번들 014와 015의 단자를 보드 s3에 납땜합니다. 필터 커패시터 Cl을 삽입하고(극성에 주의!), 단자를 약간 벌린 후 연결부에 납땜합니다. 커패시터 C2를 양의 필드가 있는 보드에 납땜합니다. 음극 단자를 연결 035를 사용하여 보드에 연결합니다. 테이프 x13을 사용하여 두 커패시터를 단단히 당깁니다. 스위치 Sl의 납땜 고리 x3에 스프링 v10을 걸어 놓습니다. 다른 쪽 끝은 접지선 037의 아이(eye)에 걸리며, 이 아이는 사진과 같이 전위차계 샤프트, 스위치 넥, 스위치 샤프트를 번갈아 통과하여 두 번째 아이 x3으로 연결됩니다. 스프링 v10이 충분히 팽팽해질 때까지 와이어를 당깁니다. 와이어 끝을 아이에 삽입하고 납땜한 후 나머지 부분을 잘라냅니다. 두 번째 아이 x3과 C3 극의 접지 포일 사이에 커패시터 C6을 납땜합니다. 퓨즈 P1, P301, P401을 스프링 홀더 s8에 삽입합니다.

이제 앰프는 12페이지에 설명된 대로 검사 및 시운전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재생된 앰프를 앞쪽에서 캐비닛에 넣고, 메시 코드를 먼저 끼웁니다. 6번 나사 두 개와 와셔 두 개를 사용하여 캐비닛에 고정합니다. 캐비닛 아래쪽 구멍에 나사를 넣고 방열판에 리벳으로 고정된 6번 너트에 조입니다. 이제 앰프가 완성되어 작동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다음은 가장 관심 있는, 서방세계의 것과는 약간 다른 프레임 제작 방법 안내. 알루미늄이 아니라 두랄루민을 썼다고 한다. 그게 더 비싼 것인데… 사회주의는 그런 것도 독특하다.

기계 부품 목록, 도면 및 조립품(pp.4a8)

v1 패널: 은빛이 도는 균일한 결을 표현하려면 언급된 표면 처리가 까다롭습니다. 실버 메탈릭 스프레이도 가능합니다. 건식 데칼을 사용하여 각인을 할 수 있습니다.

v2 – 삽입: 도면은 하드보드의 매끄러운 면입니다. 240° 간격으로 ø 4 크기의 구멍 두 개를 미리 뚫습니다. M4 나사 두 개를 사용하여 패널 v1에 삽입물을 고정합니다. 이 패널 v1은 다른 구멍을 정확하게 뚫을 때 드릴링 템플릿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두 구멍 3.2를 카운터싱크하면 리벳 머리 x9가 됩니다. 절단면, 구멍 안쪽, 그리고 눈에 보이는 거친 면을 라텍스로 검은색으로 칠합니다. 소켓 s10을 구멍 17에 리벳으로 고정하여 접점 2가 구멍 12를 향하도록 합니다.

v4 라디에이터: 규정된 드로잉 프로파일을 구부러진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교체할 수 있습니다.

판금. 아노다이징(바니시 아님)으로만 흑화 처리하면 주변으로의 열 전달이 원활해지고, 방열판에 단단히 부착된 경우 다른 부품과의 전도성 연결이 보장됩니다. 연결 기판 s3을 드릴링할 때 구멍의 동심도가 충분해야 일반적인 부싱 없이도 와셔 s12와 s13을 통해 트랜지스터 T303/403과 T304/404의 절연 고정이 보장됩니다. 아래에서 8번 구멍에 너트 v6 두 개를 리벳으로 고정합니다.

v7 기둥: 6페이지에 표시된 것처럼 18cm 와이어 z9 두 개의 고리를 사용하여 커패시터 C306/406을 기둥의 올바른 위치로 당깁니다. 플라이어를 사용하여 기둥에서 루프의 끝을 계속 당기면서 양쪽으로 벌리고 구부러진 부분에서 약 10mm를 잘라냅니다. 커패시터는 와이어로 기둥과 프레임에서 절연되어 있습니다. 조립은 자동 잠금됩니다.

v9 – 스위치 너트 : 스위치를 구매하고 다시 조립하면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버전 02880 또는 62880의 S5 및 S6 클램프에는 사포로 거칠게 한 후 검은색으로 칠할 수 있는 상단 금속 너트가 있습니다.

v10 – 인장 스프링: 스위치의 접지 샤프트와 전위차계의 케이블 z19에 충분한 인장력을 보장하는 경우 다른 설계도 허용됩니다.

s1, s2, s3 – 연결판: 구멍이 없는 제품을 구매한 경우, 구멍 뚫기에 따라 구멍을 뚫어주세요.

6~7페이지의 지침을 참조하세요. 날카로운 1.3mm 드릴 비트는 에칭된 표면의 중앙에 정확하게 들어갑니다. 정확한 직사각형 모양으로 조정된 구멍을 뚫은 보드를 호일 위에 놓고 가능한 한 가장 고운 사포로 연마하고 알코올에 녹인 송진으로 바니시를 바릅니다. 이미 바니시 또는 솔더 바니시로 인쇄된 보드를 구매하는 경우 연마 및 바니시 작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s15, s16 손잡이 조립 완료 : 본체 b는 두랄루민 재질이며, 둘레는 미세한 톱니 모양이고, 앞면은 칼날에 의해 윤이 납니다. 디스크 a는 검은색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었으며, x12 조정 나사에 180°로 흰색 선이 그어져 있습니다. a 부분은 목 부분을 약간 비틀어 고정합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