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 SOONDORI
1970년대 중반에 소개된 세퀴라(또는 세큐라) 튜너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다. 특수 유틸리티 튜너이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알려진 게 없는 것. 다루는 사람도 많지 않았을 것. 그래서, 몇 개 항목에 대해서 마음대로 상상하고 정리해 보기.
■ 필터 회로와 검파 회로와 MPX 회로
아래는, 세퀴라 튜너 사용자 매뉴얼에 언급된 내용.
* 원본 문서 : Sequerra Model 1 FM Tuner 설명서
프런트 엔드
프런트 엔드는 세 가지 기본 기능을 수행합니다. 차동 결합 3극 증폭기를 사용하여 초기 RF 선택도를 제공합니다. 내장된 국부 발진기를 통해 선택된 RF 주파수를 혼합하여 FM IF와 파노라마 IF를 구동하는 데 사용되는 IF 주파수를 생성합니다. 주파수 카운터를 구동하는 신호를 제공합니다.
FM IF 필터
IF 필터는 FM 다이얼에서 최소 400Hz 이상 떨어진 방송국을 분리할 수 있는 충분한 선택도를 제공하는 기능을 합니다. FM IF는 튜닝 모드에서 수직 디스플레이의 마지막 10진법을 생성하는 AM 신호도 제공합니다.
FM 리미터
FM 리미터는 선택된 신호에서 발생하는 모든 AM 노이즈를 제거하고, 제로 축 교차 정보만 FM 검출기에 제공합니다. 또한 FM 리미터는 튜닝 디스플레이에서 수직 정보의 처음 50진법을 생성합니다.
FM 검출기
FM Travis-Smith 검출기는 리미터의 제로 축 교차점에 포함된 정보를 받아 해당 시간 변위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합니다. 출력은 멀티플렉스 디코더를 구동하고, 튜닝 디스플레이의 오실로스코프 수평축을 구동합니다.
멀티플렉스 디코더
멀티플렉스 디코더의 입력 회로는 19kHz 파일럿 신호를 분리하고, 복합 스테레오 신호에서 67kHz(SCA) 신호를 제거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L+R 신호와 L-R 신호의 위상 진폭 관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고유하게 설계된 필터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준잔류 측파대 처리 회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점에서 분리된 19kHz 신호는 주파수 더블러로 입력되고, 이 더블러는 자유 구동 38kHz 정진폭 발진기의 위상 고정에 사용됩니다.
38kHz 위상 동기 발진기에서 멀티플렉스 피크 디코더 스위칭 시스템(Multiplex Peak Decoder Switching System)이 구동됩니다. 피크 검출 시스템은 복조 과정에서 위상 오차를 최소화하는 시스템으로, 푸시풀 피크 검출기( Push-Pull Peak Detector)라고 할 수 있습니다. 멀티플렉스 시스템의 출력은 출력 필터 시스템으로 입력되며, 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합니다. 먼저 일반적인 75µs(50µs), 특별 주문 가능) 디엠퍼시스 곡선을 삽입합니다. 그런 다음 변곡점이 약 23kHz인 롤오프를 추가합니다. 그 후 38kHz 발진기의 나머지 구성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추가 노칭 필터를 삽입합니다. 이 시스템은 포화 신호에서 피크 레벨보다 70dB 이상 낮은 신호대 잡음비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출처 및 추가 정보 열람 : https://www.hifisentralen.no/forumet/threads/day-sequerra-fm-reference.95741/#lg=post-2907322&slide=6)
이런 게 참으로 문제인데… 쪼가리 회로도조차 없고 기타의 추론할 정보도 없다. 특이 단어 중심으로 정리해 보면,
○ 트래비스 스미스 검파(Travis Smith Detector)
“…리미터의 제로 축 교차점에 포함된 정보를 받아 해당 시간 변위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합니다…”에 핵심이 숨어 있다. 어떤 말씀인가 궁리를 해 보면,
1) 리미터 회로에서 Zero Crossing 기준 인터벌 정보만 가져오기
2) 그리고 PW로 표시된 주기 변화를 전압의 변화로 바꾸기. 이것이 맞다면, Pioneer의 DDD, Kenwood PCD가 연상된다. 아무래도… 그와 비슷한 회로를 채용했다에 한 표. 그에 대한 방증으로 다음과 같은 문구가 있다.
“… 광대역 초선형 1.2MHz 폭의 트래비스 스미스 검출기는 가장 비싼 가격으로 제작되었으며 왜곡이 극히 낮습니다…”
1.2Mhz까지의 극단적인 선형성을 유지하려면, 그러니까 흔한 직교검파의 S-커브를 위와 아래로 한껏~ 늘인 것과 같은 변환 패턴을 유지하려면, 일반적인 L, R, C 검파회로로는 감당이 안 된다. 명확한 인식점을 가지고 움직이는 PCD/DDD는 가능함.
(내용 추가) 다음 문구를 따라가서… 작성된 콘텐츠 문구를 이쪽 이동함. DDD/PCD가 아니라 이중평형 검출기였더라. 헛! 대단하다.
“… A newly designed Travis-Smith FM detector utilizes 2 peak detectors in quadrature. This arrangement serves to balance out 2nd and 3rd harmonic distortion products to an incredible low of better than 0.05%. Detector bandwidth is between 600 and 700 kHz wide…”
아래는 단순 참고용으로… 라운드 트래비스 평형 검출기. 이것일 가능성이 있기는 한데… 정보가 부재하고, 극단의 선형성을 담보할 수 있을까 가 몹시 아리송하여 Pass.“… 라운드 트래비스 검출기(Round-Travis detector) 는 평형 기울기 검출기(balanced slope detector) 또는 삼중 동조 판별기(triple-tuned discriminator) 라고도 하며 , 주파수 변조 (FM) 시스템 에 사용되는 주파수 복조기의 한 유형입니다 . 두 개의 기울기 검출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는 중심 주파수보다 높은 기울기로, 다른 하나는 그보다 낮은 기울기로 조정되어 복조 신호의 선형성을 향상시킵니다..”
|
[ 관련 글 ]
Sequerra, Model One 튜너와 ‘명기’의 정의
인켈 TD-2000과 Sequerra FM-1 튜너의 스펙 비교
○ 푸쉬-풀 피크 검출기( Push-Pull Peak Detector) = 멀티플렉스 피크 디코더 스위칭 시스템(Multiplex Peak Decoder Switching System)
수시로 달라지는 입력 전압을 커패시터에 잠시 가둬두고, RC 시정수가 충족될 때 어떤 형상의 출력 펄스를 내보내기. 그리고 그 펄스 단위로 아날로그 <주파수-전압 변환 연산>을 수행하기.
(출처 및 추가 정보 열람 : https://www.picuino.com/en/electronic-operational-peakdetector.html)
“이상한 단어를 쭉~ 붙여놓으면, 좀 그럴듯한가?” 이것을 일제 튜너 등에서 널리 사용된 Sample & Hold의 유사 개념으로 간주함.
■ CRT 중심 유틸리티 튜너
세퀴라 FM-1 튜너의 더덕더덕 버튼과 CRT 정보 제공에 관한 매뉴얼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1) 상단 푸시 버튼 : 디스플레이: 파노라마는 튜닝된 주파수보다 1MHz 위아래로 전송하는 모든 방송국을 표시합니다. 스코프 트레이스의 수직 핍은 주변 방송국 간 잡음 레벨(기준선)보다 높은 신호를 방송하는 방송국을 나타냅니다. 특정 주파수로 튜닝하면 청취 중인 방송국이 스코프의 눈금판 중앙에 표시됩니다.
2) 디스플레이 왼쪽의 두 번째 푸시 버튼인 디스플레이 .-튜닝은 세트를 올바르게 튜닝하는 데 사용됩니다. 올바르게 튜닝하려면 트레이스를 경로의 상단 중앙에 맞춰 조정해야 합니다.
3) 세 번째 푸시 버튼인 디스플레이: 튜너 벡터는 오디오 구성 요소를 X-Y 축으로 표시합니다. 이 벡터는 수직 축을 따라 좌우 스테레오 채널을 표시합니다. 스테레오 프로그램 자료의 분리도 및 위상 특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각도가 넓을수록 분리도가 커지고, 트레이스가 높을수록 신호가 강해집니다. 수직선은 분리가 없음을 나타냅니다(중앙에 위치한 아나운서 또는 모노포닉 전송).
4) 네 번째 푸시 버튼(디스플레이: 외부 벡터)은 스테레오 또는 4채널 프로그램의 분리 및 위상 특성을 표시합니다. 제대로 작동하려면 후면 패널의 외부 벡터 입력 섹션에 제대로 연결해야 합니다. 스테레오 프로그램 자료는 디스플레이: 튜너 벡터와 동일하게 표시됩니다. 4채널 프로그램 자료는 “X”자 모양의 트레이스 4개에 표시되며, 앞, 뒤, 왼쪽, 오른쪽 모서리를 나타냅니다. 쿼드 프로그래밍의 각 레그의 분리, 위상 및 진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다섯 번째 푸시 버튼(분리: 최대-고음 혼합)은 스테레오 방송에서 고주파 분리를 제어합니다. 청취 조건이 좋지 않을 때 일부 잡음을 제거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청취 자료의 공간적 및 방향적 선명도를 최적화하려면 이 버튼을 최대로 설정합니다.
다섯 번째 버튼은 Hi=Blend 기능이니까 Pass하고… 나머지는 튜너의 실시간 동작 상태를 아날로그 표시기로 보여주자는 취지의 결과물. 제품 컨셉이 방송국 수신 모니터링 기능을 부각하였기에 그렇다.
그렇게 강조된 ‘보는 것’을 위해 D10 260 CRT가 사용되었는데, 연식이 연식인지라 고장 빈번. 필립스, 텔레풍켄 등이 사용한 그 원형 CRT는, 단순한 직경 10cm짜리 원형 지시계일 뿐. 그것의 구동을 위해 고전압 발생 회로와 여러 곳 신호 픽업 포인트를 마련한 구조. (TEK 5103N 오실로스코프에서 D10 계열 사각형 CRT를 썼다고 한다)
(▲ 텔레풍켄 Short form catalogue, 1978/1979 Tubes and Sub Assemblies 문서에서. * 출처 : https://frank.pocnet.net/other/AEG-Telefunken/AEG-Telefunken_TubesAndSub-assemblies_1978.pdf)
지극히 조용한 RF 공간이어야 하는 튜너 안에 온갖 발진 노이즈를 만들어 낼 것이 뻔한 CRT 구동 회로를 집어넣은 것은, 마치 자살행위와 같음. 노이즈 대책으로 뭘 더하고 더하고, 그러면서 전체 개발 코스트가 쭉~ 올라갔을 것이며…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가장 전형적인 옥상옥 사례이다.
가정용 튜너 관점에서는 매우 비경제적이며, 가정용에 국한다면 마땅히 회로 절반을 걷어내야 함. 그들의 지나친 치장은 ‘보는 것’에 그리 집중하지 않으면서 RF 신호 중계라는 기본 기능 때문에 몹시 고성능인 <릴레이 리시버>와 크게 대비된다.
지구 위 누군가는 CRT를 LCD로 대체하는 DIY 활동을 하셨을 것 같고… 찾아보면 나올듯.
■ 절대적 가치와 상대적 가치 그리고 과거의 가치와 현재의 가치
최초 진공관식 마란츠 10B 튜너가 유명했고, 그것의 설계자가 만든 CRT 강조 FM-1이 유명해졌지만, 두 가지 모두는 1980년대 이후 오디오 극상기에 소개된 각종 튜너 또는 구닥다리 독일제 릴레이 리시버 등에 비해 과격하게 안정적이거나 과격하게 우수한 제품은 아니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세퀴라 튜너는 그냥 유니크한 빈티지 물품으로서의 존재감이 있는 것이고 그에 따르는 가치가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상상하면, 방송국용 오타리 릴데크 전체 시스템을 떼어다가 거실 안에 두고 만지작거리는 것과 같은데…
관리가 몹시 까다로운 부류의 튜너를 가지고, 소리가 어쩌고저쩌고 하는 과한 찬양의 말씀을 남기면 안 된다는 생각. 이유는, 현재 상태 부정형 + 기술적 낙후 + 통계용 사용자 n명 불충족, 세 가지.
다음은, 왜 상태 부정형인지에 대한 단서. 필터 회로 하나에 대해서, 22개 포인트를 완벽하게 재조정할 사람은, 지구 위 몇 사람밖에 없을 것. 끝. (표제부 사진 출처 : https://www.fidelity-online.de/der-sequerra-fm-1-von-herrn-f-aus-o/)
“… B. IF 회로 – 10.7MHz에서 최고의 선택도와 대역 에지 위상 선형성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22개의 개별 조정을 제공하는 18극 파풀리스 필터를 사용합니다. (다른 튜너들은 세라믹 필터와 튜닝된 IF 변압기를 사용합니다. 이 또한 만족스럽지만, Sequerra의 성능을 내는 데 필요한 조정을 허용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