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 3극 출력관, 300B와 2A3
글쓴이 : SOONDORI "맞춤", "페어", "Pair", "쌍으로", "한 조로" 꼬리표를 달고 돌아다니는 전자부품의 종류는 많지 않은데, 출력 진공관은 늘... 상대방의 말을 믿고 곱하기 2. ■ 서부전기 300B 영화관용 앰프에 쓸 요량으로 제작한 시점이
Read More글쓴이 : SOONDORI "맞춤", "페어", "Pair", "쌍으로", "한 조로" 꼬리표를 달고 돌아다니는 전자부품의 종류는 많지 않은데, 출력 진공관은 늘... 상대방의 말을 믿고 곱하기 2. ■ 서부전기 300B 영화관용 앰프에 쓸 요량으로 제작한 시점이
Read More글쓴이 : SOONDORI "역사는 늘 승자의 입장에서 기록된다." 미제 다큐멘터에서 종종, 독일 공군(Luftwaffe)의 '메서슈미트(Messerschmitt) BF-109'를 영-미 합작 머스탱 P-51에 무릎 꿇은, 은근슬쩍 여기 저기에서 치인 패자의 전투기로 묘사하지만... 역사에서 히틀러와 나치를 공제하면,
Read More글쓴이 : SOONDORI 미국 오디오 리서치(*)社의 진공관 파워앰프에 붙은 Reference는... 그런 꼬리표는 흔히, 제작사 나름대로 최선을 다했다는 암시이다. 물론, 매우 일시적인 것이기는 하지만. 출력관 KT-120 × 4, 푸쉬-풀 방식, 75W@8오움, 0.7hz~75Khz, THD
Read More글쓴이 : SOONDORI '프리보'의 조립 품질에 크게 실망한 러시아 분의 인터넷 글이 있지만... "... 이 이야기는 1991년 가을, 최고 등급 릴 테이프 데크(파워 앰프 포함), 베가(Vega) EP-122 컨트롤 앰프, 라디오테크니카(Radiotehnika) S-90 스피커로
Read More글쓴이 : SOONDORI 가로 폭이, 큰 손으로 한 뼘 정도? 그러니까 넉넉히 Mini급이라고 말해도 무방한 크기. 녹색과 적색의 우연한 어울림이 아름다워서 기록해 둔다. X/Y 분리 입력, 10Mhz, 트랜지스터식, 약 3Kg, 1984년 제작. (▲▼
Read More글쓴이 : SOONDORI 디지털 DAT 데크라는, 다 차려진 밥상에서 몇 숟가락을 덜어내서 만든 것?. DC-20Khz@2채널, DC-10Khz@4채널, DC-6Khz@8채널, S/N 70dB, 배터리 내장형 포터블 장비, 1990년 중반 추정. 이런저런 테이프 매체 활용 + 디지털 PCM
Read More글쓴이 : SOONDORI KT88을 쓰고 최대 출력이 75W라는, 롱런한 MC275를 기억하기는 쉬운데... 6L6GC 관을 쓰는, 같은 모습의 MC240은? 12AX7, 12AU7, 12BH7, 12AX7, 6L6GC/7027-A, 스테레오 2채널 + 40W = 240, 20~20Khz, THD 0.5%,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