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 PCB에 대한 이야기
글쓴이 : SOONDORI 진공관 시절에는 단자대를 쓰고 일일히 손으로 땜질하는 하드-와이어링(Hard Wiring) 방식을 썼는데 인쇄회로기판 즉, PCB(Printed Circuit Board) 개념이 등장하면서 제작사들의 노고가 대폭 경감되었다. (그 경비절감분이 소비자에게 적절히 돌아갔는지는 따로
Read More글쓴이 : SOONDORI 진공관 시절에는 단자대를 쓰고 일일히 손으로 땜질하는 하드-와이어링(Hard Wiring) 방식을 썼는데 인쇄회로기판 즉, PCB(Printed Circuit Board) 개념이 등장하면서 제작사들의 노고가 대폭 경감되었다. (그 경비절감분이 소비자에게 적절히 돌아갔는지는 따로
Read More글쓴이 : SOONDORI 진공관 Grid 핀의 전압감지에서 출발하였기에 트랜지스터, IC 등 구현방식 불문하고 여전히 그리드-딥-미터(Grid Dip Meter)라고 불리운다. DIP은 최저점의 의미. 예를 들어 매우 안정적인 발진기(예 : Colpitts 회로)와 조금 이격된 공간에
Read More글쓴이 : SOONDORI 튜너, CDP 등 소스기기마다 출력이 다르다. 150mV, 200mV... 그래서 그때 그때 볼륨을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런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신호라인 에텐뉴에이터(감쇄기)'. 함체 형태도 된 것도
Read More글쓴이 : SOONDORI 감쇄용 저항들의 배치 모양을 '알파벳 L'자로 형상화, 통칭하는 'L-PAD'. DIY 스피커 만들기 작업에서 요긴하게 사용될 것으로 판단하여 추가 글로 정리한다. 흔히 트위터가 미드/우퍼에 비해 음압( SPL; Sound Pressure Level)이
Read More글쓴이 : SOONDORI(과거 글들의 재정리) 아는 분에게서 선심의 선물로 받았던 인티앰프에 대한, 그러나 외람되게도 좋지 않았던 기억에 대한 재정리. "고맙습니다" 기분 좋게 전원버튼 눌렀으나 무 반응. 잠시 난망했다. 뜯어보니 아예 Power On/Off
Read More글쓴이 : SOONDORI 이번에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자재들에 대한 이야기. 금속과 금속이 만나는 부분에 얼마나 좋은 소재를 썼는가에 따라 (스피커 포함)모든 전자기기들의 최종 성능과 시간흐름에 따른 성능유지 능력이 크게 달라짐을 생각한다면 부속자재 선정은
Read More글쓴이 : SOONDORI 스피커 유닛, 저항, 커패시터, 코일, 기타 잡자재 이 다섯가지만 있으면 나만의 스피커를 만들 수 있다. 그 중에 하나인 커패시터(콘덴서)에 대한 이야기. 값은 정의되어 있다고 보고 무엇을 어떻게 선정할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