튜너 동호인의 DIY MPX 보드 (2), 일제와 미제의 대결?
글쓴이 : SOONDORI IF 검파 후 신호가 들어가면 L/R 두 신호가 분리되어 나오는 ULN2244A, HA11223W. 두 보드의 모양과 회로가 다르다 한들 MPX, Multiplexer, Stereo De-modulator, Stereo Decoder 등 여하한 명칭으로 불리는 표준
Read More글쓴이 : SOONDORI IF 검파 후 신호가 들어가면 L/R 두 신호가 분리되어 나오는 ULN2244A, HA11223W. 두 보드의 모양과 회로가 다르다 한들 MPX, Multiplexer, Stereo De-modulator, Stereo Decoder 등 여하한 명칭으로 불리는 표준
Read More글쓴이 : SOONDORI 프로용 인터페이스 컨셉을 일부 차용했다고 생각되고... 전체적인 디자인 틀이 신선해서 등록해둔다. 3 헤드, Normal/CrO2/FeCr/Metal, Dolby-B/C, 20~22Khz@metal, THD 0.8%, S/N 75dB@Dolby-C, 7.3Kg, 1980년대 초반 (출처 : https://www.etsy.com/ca/listing/801030345/rare-audiophile-hitachi-d-2200m-3-head) 이 제품의 키워드는 ATRS(Automatic Tape
Read More글쓴이 : SOONDORI 나름 한 덩치 하는 빈티지 카세트 데크. 히타치가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바이어스 자동 검측 및 설정 기능'을 넣고 그것을 ATRS(Automatic Tape Response System)라고 명명하였다. 덕분에 바이어스 양과 감도를 표현하는
Read More글쓴이 : SOONDORI 전범 기업이었던 히타치가 1980년 대 오디오 극상기를 리딩하는 솔루션 업체로 다시 태어났다. 이하는 1984년, 자사 IC 솔루션 알림을 목적으로 만든 팸플릿에서 발췌. * 관련 글 : Hitachi KH-385H 라디오와
Read More글쓴이 : SOONDORI 뭔가 잔뜩 들어 있고 시각적으로 복잡했던 트랜지스터식 아날로그 튜너는 IC 패키지 솔루션의 등장으로 내부 구성이 대단히 간명해지고 상당 부분 표준화되었다. 그 관점에서 보면 FM 3련/4련 상당 디지털 튜너의 속내라는
Read More글쓴이 : SOONDORI 역사적 가치가 있고 짜임새 있고 단정한 모습이 참 좋다 생각했던 기기들. 유럽시장을 향한 금성사와 어떤 일본기업의 협업 결과물로 추정하였다. 대단한 공을 들여 만든 제품들인데 아무리 봐도 금성사 독자 설계로
Read More글쓴이 : SOONDORI "제작 기술은 누구에게나" 그런 상황이 되니까 극단의 아이디어 쥐어짜기를 할 수 밖에 없었던 모양. 표제부 기기는 정면기준 높이를 최대한 줄이고 카세트 테이프를 살짝 밀어서 결합하는 방식으로 바꾼 다음, 1980년대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