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ATABASE > Technics ST-9030 FM 전용 아닐로그 튜너

Technics ST-9030 FM 전용 아닐로그 튜너

글쓴이 : SOONDORI

마쓰시타가 ‘Ultimate in FM Tuner’라며 심하게 자랑했던 1970년대 말의 고급형 튜너.

FM 전용, 8련 프론트엔드, 비율검파 + PLL MPX 회로, 실용 감도 1.2uV(12.8dBf), 22uV(38.1dBf@50dB Q.S., 20~18Khz(+0.1dB/-0.5dB), S/N 80dB@Mono, THD 0.08%@stereo, SEP. 50dB@1Khz, 482mm × 101 × 370, 7.2Kg, 1978년.

자랑은 구체적일수록 좋으니까, 브로셔에 뭘 열심히 적어 놓았다.

.

(출처 : 1980년판 테크닉스 프로패셔널 시리즈 브로셔)

이상에서 특기 사항을 다시 정리해 보면,

1) 자랑의 중심에 있는 PLL MPX는… 타 사 PLL MPX와 크게 다르지 않음.

그런 방식의 논리는, 1) 방송국이 보낸 19Khz를 믿지 않는다, 2) 어떤 순간에 그것을 버리고 자체 생성 19Khz/38Khz/76Khz 클럭을 쓴다, 3) 마침 자체 생성한 클럭은 아주, 아주 깨끗하다, 4) 그 말은 고조파 생성이 극도로 억제된다는 뜻이기도 하다, 5) 그렇게 깨끗한 물을 먹였더니 튜너라는 물고기의 분리도가 높아지고 THD가 뚝! 떨어지더라.

2) IF 경로를 Narrow 경로와 Wide 경로로 완벽히 이중화하고, 튜너가 스스로 경로를 선택한다. Narrow Mode 절환 기준은 THD 0.3% 초과.

3% 초과 판단은, Wide Mode 경로에서 △f 추출 → 현재 선국 주파수와 △f의 근접도 판단 → 인접 방송이 있다고 판단했다면, 그래서 THD가 0.3%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면, <Detour Output Switching> 블록이 Norrow 경로로 절환.

IF부 종단에서 경로를 결정하기 때문에, 한마디로 (일반 튜너와 같은) <Narrow 경로 삽입형>이 아니라 <경로 병행형>이다.

3) 내부 레이아웃은 당연히 그럴듯하고 또, 누가 봐도 열심히 만든 튜너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4) 사용자가 Hi-Blend 모드를 OFF할 방법이 없다.

묵중하고 간결한 고급 튜너임을 강조하려고? 또는 오로지 디자인 관점에서? 하등한 기능 스위치쯤은 과감히 생략하는, <지능적 Automatic 하이 블렌드>를 선택.

먼 훗날의 사용자에게, 오토매틱이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님.

고급형 오디오 기기 사용에 대한 負의 대가로서, 은닉된 악성 관리 변수로서… 기기 건전성이 확인되지 않았다면, 그 자동기능 때문에 그들이 자랑했던 ~18Khz 음품질은 확신할 수 없는 게 되어버린다. (자동 IF 경로 절환도 마찬가지임)

“현재 상태가, 그럭저럭 듣기용 Hi-Blend On 상태인지 Off 상태인지 우찌 압니~껴?”

* 관련 글 : Technics ST-970 FM 전용 아닐로그 튜너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