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TECH. & DIY > 인켈/SAE CDP의 FND 디스플레이 오류 그리고 교체형 키트

인켈/SAE CDP의 FND 디스플레이 오류 그리고 교체형 키트

글쓴이 : SOONDORI

흔히, 부품 제작 오류에 설계 오류가 겹친 것은, 시간이 흐르면 큰 폭탄이 되어 선량한 빈티지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펑!

오디오에 별 관심이 없던 시절에 갖고 있었던 인켈 D103 CDP가 딱 그런 경우였다. 숫자가 안 나오니 거북해서 CDP를 안 돌리고, 그러다가 한참 후, “뭐여 이거슨” 던져서 폐기. 사실, 어떻게 버렸는지 기억도 나지 않음.

인켈/SAE D102/D103 CDP의 고질병인 FND 점등 불량은, 과한 구동 전류가 원인이다. 설계와 부품의 Unmatch!

언젠가는, “(뽑기를 잘해서 오늘은 FND가 잘 점등되는 기기에서) 미리 저항을 삽입하여 전류량을 줄여야 합니다”라는 취지의 국내 인터넷 글을 읽은 기억이 있고,

해외 사이트(www.diyaudio.com)에는 FND 신품 교체 일지를 정성스레 올리신 분도 계시는데… 그 글의 요지는, “전류량 제한이 필요합니다”와 “FND 단품 불량이라면, 앞쪽 플라스틱 구조물을 적당히 가공하는 조건으로 신품 FND 보드로 교환하세요” 두 가지.

(▲ 표제부 사진은 일종의 DIY 키트를 이용하여 구 품 드라이버 회로 전체를 교체한 경우. 이상 출처 및 글 열람 : https://www.diyaudio.com/community/threads/sae-d102-reverse-engineering-led-display-module.352982/page-2)

SAE D102 Display Module Clone

신품 교환이라… 오래 전 FND 폰트와 요즘의 FND 폰트가 다르기 때문에, 원형성이 훼손되는 찜찜함이 있다. 투덜투덜~

이렇든 저렇든 IC 고장이면 답이 없음. 안에 스텝 동작을 정의하는 일종의 프로그램이 들어 있으니까. 그리고 폭탄을 받은 사례는… 마란츠 SR-930 리시버, TEAC V-909RX 카세트 데크도 그랬고, 두리번거리다가 접한 다른 모델의 사례도 있었고…

투덜투덜~ 빈티지 FND의 과전류 조심!

* 관련 글 : Panasonic MN1203 IC 대체 키트, 반짝이는 아이디어


SAE 애호가께서 코로나 팬데믹에… 로직 애널라이저로 CDP 반응별 펄스 패턴을 파악한 다음, 신형 칩 + 신품 FND 조합 쪽보드에서 프로그래밍.

(출처 및 글 열람 : https://www.diyaudio.com/community/threads/sae-d102-reverse-engineering-led-display-module.352982/)

정말 품값 안 나오는 작업인데… 그만큼 SAE 브랜드를 좋아하는 분이신 듯. 그런데, 그게 Made in Korea인 것은 알고 계실까?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